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맞아도 델타 변이 감염이 계속될 것이라서 집단면역은 가능하지 않다는 경고가 나왔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임상시험을 이끈 앤드루 폴러드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는 10일(현지시간) 바이러스 전파를 완전히 막을 방법이 없다면서 이처럼 말했다.
폴러드 교수는 영국 의회 내 코로나19에 관한 초당파 모임에서 앞으로는 상태가 좋지 않은 사람들을 검사하고, 중증 입원환자 치료를 개선하는 데 집중해야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집단면역이 가능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보며, 백신 접종자를 전보다 더 잘 감염시키는 새로운 변이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폴 헌터 이스트 앵글리아대 의대 교수도 "집단면역이란 개념은 달성할 수 없는 것이다. 최근 데이터에 따르면 백신 2회 접종도 감염을 50% 밖에 못 막기 때문이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제는 숫자 집계 대상이 확진자에서 환자로 바뀌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실제로 문제가 되지는 않는데 (확진자) 숫자가 크다는 이유로 무서워질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폴러드 교수는 부스터샷 접종(3차 추가접종)에도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그는 "부스터샷 접종 결정은 과학적 연구에 기반해야 한다"면서 아직은 2회 접종을 완료한 사람들 가운데서 중증 환자나 사망자가 증가했다는 어떠한 증거도 없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컨슈머타임스(Consumer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