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 김충식 기자] 경기도가 추진 중인(2025년 12월 준공예정) 경기북부 7호선(도봉산!~옥정) 광역철도 사업에 대한 부실추진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의정부 시민단체 '실천하는 의정부시민공동체 사회적협동조합(대표 김용수)'는 지난 17일 경기도청 북부청사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 단체는 이날 7호선 광역철도 사업이 예타점수를 맞추기 위해 의정부 노선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한 민락2지구의 수요를 중복 반영하는 부실행정 의혹을 제기했다.
이 단체에 따르면 7호선 광역철도 연장(의정부~양주)예타가 시작된 2010년부터 해당지역 광역교통대책인 BRT구축사업에 교통 분담금 약1000억원이 반영돼 공사가 진행됐다. BRT구축 사업은 지난 2014년, 2018년 순차적으로 전 구간의 도로공사가 완료됐다.
김용수 대표는 "의정부시와 양주시가 사업성을 맞추기 위해 기반영된 민락2지구 BRT 교통수요를 7호선 사업에 이중으로 반영하여 억지로 사업성을 맞췄다"며 "특히 민락2지구는 약1000억 원의 교통 분담금을 부담하고도 택지지구준공(2014년)이후 6년이상 광역교통이 시행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시민단체가 제시한 자료에 의하면 2006년 민락2지구에 대한 광역교통대책은 BRT구축이며 사업비가 약 1000억원 가량 LH부담으로 반영됐다.
그리고 2010년 의정부시는 해당 BRT 도로 공사를 진행했다. 그런데 현재까지도 실제적인 BRT는 운용되지 않고 일반노선버스 7개 노선만 운용되고 있다.
민락2지구는 지난 2016년부터 의정부 7호선 광역철도 예타가 통과된 이후 노선변경 및 역신설을 요구하는 민원이 빗발쳤으나 사업성이 부족하다는 경기도의 강경한 입장을 넘지 못해 현재 전체 15㎞ 사업구간중 약 10㎞를 관통하면서도 사업비는 양주시의 2배를 부담했다. 하지만 역사는 1개만 신설된다.

해당 사업은 이미 2019년 12월 2공구 사업을 시작으로 작년 말에 전 구간 사업이 착공됐다. 그동안 인구 5만의 민락2지구 주민들의 노선변경, 역사신설 요구가 끊이지 않았던 지역이다.
이에 해당 지역구 민주당 김민철 의원도 작년 7월 TF를 구성하여 야심차게 해결방안을 모색했으나,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사태와 경기도의 완강한 사업 강행의지로 인해 쉽사리 주민들의 요구가 반영되지 못했다.
이날 입장문에는 관계기관인 국토부(LH), 경기도, 의정부시의 책임은 물론 지역정치인들의 소극적인 태도에 대해서도 꼬집었다.
국토부는 사업추진의 감독소홀, 경기도 및 의정부시는 해당사업의 편법추진에 대한 의혹, 그리고 사업진행과정에 대해 수차례 진정을 접수하고도 소극적으로 대처한 지역 정치인들에 대한 질타가 포함됐다.
시민단쳬 관계자는 "최근 신도시를 중심으로 광역교통대책수립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이미 교통 분담금을 부담하고 입주가 완료된 지 3년이 경과한 의정부 민락2택지지구의 광역교통분담금 1000억 원 환수논란은 그동안 정부가 택지조성과 광역교통대책수립 사후감독의 책임에 대해 얼마나 소홀했는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로 보인다"고 말했다.
앞으로 해당 사안은 의정부 시민단체와 시민들을 중심으로 감사원 공익감사에 청구될 예정이다.
감사를 통해 7호선 사업의 이중수요 편법반영 및 택지지구의 교통 분담금 사용의 정당성여부가 밝혀질 것으로 보이며 감사결과에 따라서 7호선의 사업의 사업 추진일정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