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진(동작을) 의원 "중소기업 보호 위해 지재권 분쟁 지원 예산 확대"
상태바
이수진(동작을) 의원 "중소기업 보호 위해 지재권 분쟁 지원 예산 확대"
  • 임이랑 기자 iyr625@cstimes.com
  • 기사출고 2020년 10월 06일 15시 15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제 지식재산권 분쟁 지원 수요 느는데 지원기업 비율 줄어
사진=이수진 의원실
사진=이수진 의원실

[컨슈머타임스 임이랑 기자] 국제 지식재산권(이하 지재권)분쟁의 지원 수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지원을 받지 못하는 기업들의 비율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이수진 의원(서울 동작을)이 특허청으로부터 제출 받은 '국제 지식재산권 분쟁 대응전략 지원 통계' 자료를 살펴보면 지재권 분쟁 대응 신청기업은 2016년 574개사에서 2020년 9월 현재 902개사로 57% 증가했으나 신청기업 대비 지원기업 비율은 2016년 84.8%에서 매년 계속 감소해 2020년 9월 현재 39.8%에 그친 것으로 파악됐다. 

'국제 지재권분쟁 대응전략 지원사업'은 국내 중소기업이 해외에서 지재권 침해 경고장을 받거나 소송을 당하는 등 분쟁단계별로 맞춤형 지원을 하는 사업으로 신청기업은 '2016년 574개사'→ ‵17년 898개사 → ‵18년 791개사 → ‵19년 692개사 → ‵20년 902개사로 늘고 있는 추세인 반면, 신청 대비 지원을 받는 기업 비율은 ‵16년 84.8% → ‵17년 71.3% → ‵18년 69.2% → ‵19년 58.2% → ‵20년 9월 39.8%로 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잡한 분쟁 사건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고단가 지원 유형(기업당 최소 1000만원에서 최대 6000만원 지원)이 많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지원을 받는 기업들이 줄어든 측면도 있으나  관련 예산이 2019년 98억원에서 2020년 90억원으로 줄어든 영향도 큰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국제 지재권 분쟁에서 지원을 받은 기업은 승소와 같이 '유리하게 사건이 종결'된 경우가 132건으로 '불리하게 종결'된 55건보다 2.5배 이상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수진 의원은 "해외에서의 지재권 분쟁은 법제도가 다르고 미국과 같은 선진국의 경우 법률 비용도 크기 때문에 중소기업이 자체적으로 대응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며 "지원을 받는 경우 유리하게 사건이 종결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예산 확대 등을 통해 해외 진출 중소기업들의 분쟁 대응을 적극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