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슈머타임스 김한나 기자] TG삼보컴퓨터의 허술한 조직관리체계가 도마위에 올랐다.
한 직원이 제품을 빼돌린 것은 물론 공금을 횡령하다 적발, 퇴사한 것으로 뒤늦게 드러났다.
업체 측은 직원 개인의 비리일 뿐이라며 다급히 선긋기에 나섰으나 책임회피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 넷북 수리 맡긴지 6개월...행방은 '오리무중'
지난해 9월 TG삼보 서비스센터에 근무하는 A직원에게 자신의 넷북을 맡긴 정모씨. 수 일이 지나도 수리가 완료되지 않자 여러 차례 확인 전화를 걸었지만 "일이 밀려 있다"는 대답만 돌아왔다.
간간히 문자메시지를 통해 '서비스센터에 보관돼 있으니 택배로 보내주겠다'는 연락은 됐지만 결국 한 달 후부터는 A직원과 연락마저 두절됐다.
마음이 조급해진 정씨는 TG삼보 서비스센터를 통해 '해당 기사는 퇴사했고 넷북은 센터에 보관돼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택배로 보내주겠다던 넷북은 1월이 돼도 오지 않았다.
정씨의 주장에 따르면 서비스센터 측은 '몇몇 제품들에 분실의 우려가 있어 서비스센터장의 자택에 보관하고 있다', '센터장이 출근을 하지 않았다', '센터장이 병원에 입원했는데 퇴원하지 않았다'는 황당한 이유를 대며 넷북의 반환을 미뤘다. 정씨는 3월 현재까지도 넷북을 받아보지 못한 상태이며 넷북의 행방은 오리무중이다.
TG삼보 측은 해당 기사의 사적인 제품수리 접수였다며 회사와는 무관하다는 입장이다. 서비스센터장 자택보관 중'이라던 넷북에 대해서도 오해라고 강조했다.
TG삼보 본사 관계자는 "현재 문제가 된 A직원은 갑자기 잠적해 무단 결근한 상태라 퇴사처리 됐다"며 "A직원이 근무하는 동안 공금을 횡령하고 수리 접수된 제품이 사라지는 등 1000만원 정도의 피해가 발생해 횡령으로 형사 고발에 들어간 상태"라고 밝혔다.
◆ TG삼보 측 "정식 수리 등록되지 않은 제품..개인 문제"
이 관계자는 "정씨의 넷북은 삼보의 제품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A직원이 사적으로 수리를 의뢰 받아 전혀 확인이 되지 않는 상황"이라며 "정씨와 A직원 개인대 개인의 문제"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그는 "해당 제품을 '찾아보겠다'고 응대한 것이 마치 센터 측에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오해를 불러 일으킨 것 같다"며 "내부 직원인 기사들의 교육 미흡으로 인한 사건이라는 데에는 일정 부분 책임을 느끼지만 개인적인 수리의뢰는 받을 수 없도록 하는 내부 규정이 있다"고 덧붙였다. '센터장 자택 보관 중'이라는 응대와 관련해서도 "정식으로 수리 등록된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외부반출이라고 볼 수 없다"고 밝혔다.
그러나 현장에서 일하는 TG삼보 서비스센터 관계자의 말은 달랐다. 서비스센터 관계자는 "수리기사들이 친척이나 친분 있는 사람들 등 개인적으로 수리의뢰를 받는 것까지 막을 수는 없다"며 "그래서 타사의 제품이 센터 내에 들어오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
특히 그는 "정식으로 수리 접수가 되지 않은 제품들의 경우 등록이 돼 있지 않아 소유자의 신원확인이 어려울 때가 있다"며 "이러한 제품들은 센터 내에 보관 할 수가 없어 분실 위험 때문에 센터장 자택에 보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몇몇 제품'들이 분실의 위험으로 센터장 자택에 보관 중이라는 답변을 받았다는 정씨의 주장과도 맥을 함께하고 있어 진위여부와 관련한 또 다른 논란이 예상된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TG삼보 서비스센터의 주먹구구식 운영과 제품 분실의 책임을 개인으로 떠넘기는 행태를 꼬집는 목소리가 새 나왔다.
한 소비자는 "내부 직원 관리가 잘 안됐기 때문에 결국은 고객의 제품이 분실된 것 아니겠느냐"며 "TG삼보가 책임지고 나서서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꼬집었다.
또 다른 소비자는 "수리기사의 개인적인 제품 수리접수를 막고 있기는 하지만 부품 등의 관리가 소홀하기 때문에 그런 문제가 생긴 것 같다"며 "이런 식으로 운영되는 TG삼보 서비스센터에 믿고 제품 수리를 맡길 수 있을 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