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일 한국P2P금융협회의 회원사 대출 현황조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회원사 52곳의 누적대출액은 약 3조1798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7년 말 1조8034억원 대비 약 76% 늘어난 수치다.
지난해 협회에서 탈퇴한 뒤 마켓플레이스금융협의회를 꾸린 렌딧과 8퍼센트, 팝펀딩, 펀다 등 신용대출 전문 P2P업체의 누적대출액이 약 6700억원에 달하는 것을 감안하면 업계 전체 규모가 두 배 넘게 커진 셈이다.
지난해 중소업체 '먹튀'와 대형업체 사기 혐의 등 업계의 신뢰도를 흔드는 사건이 연달아 벌어졌던 것을 고려하면 P2P금융시장이 두 배로 성장한 것은 예상치 못한 일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지난해 부동산 열풍과 플랫폼 다변화가 업계 성장을 이끈 요인으로 보고 있다.
한국P2P금융협회 내 지난해 말 부동산담보 누적대출액은 7945억원으로 전년 말(4728억원) 대비 68% 증가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누적대출액은 지난해 말 기준 9565억원으로 전년 말(6095억원) 대비 57% 증가했다.
삼성페이와 카카오페이, 토스 등 핀테크 플랫폼에 P2P금융업체들이 탑재된 것도 이용자 수를 늘리는 데 큰 영향을 줬다.
한편 금융당국은 P2P금융 법제화를 추진 중이다. 금융위원회와 금융연구원은 11일 업계 및 학계 관계자를 모아 공청회를 열고 P2P대출 법제화 관련 주요쟁점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컨슈머타임스(Consumertime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