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 박준응 기자] 포스코는 19일 자사 철강재와 솔루션이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주요 시설에 적용된다고 밝혔다.
포스코 관계자는 "최근 속속 준공되고 있는 국제방송센터, 미디어레지던스, 관동하키센터 등 평창올림픽 주요 시설물에 포스코를 대표하는 월드프리미엄 제품과 솔루션을 대거 적용한다"며 "건물의 내구성과 안정성은 물론 미려한 표면 품질과 재사용 장점까지 더함으로써 예술성과 환경친화적 효과도 고려했다"고 말했다.
포스코에 따르면 지난 4월 준공한 국제방송센터(International Broadcasting Center, IBC)에는 포스코가 생산한 포스코가 생산한 열연과 후판을 정밀 재단해 용접·제작한 고급형강 제품이 적용됐다.
포스에이치(Pos-H)라고 불리는 이 제품은 치수가 고정된 기존 열간압연 형강과 달리 건축물 등 구조물에 맞춤형으로 제작하는 프리미엄제품으로 불필요한 강재사용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포스코는 국제방송센터의 모든 기둥에 적용된 건식 내화 클래딩 공법에 대해서도 화재사고에 강하면서도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포스코 고유 솔루션이라고 설명했다.
건식내화 클래딩 공법은 기둥에 내화 페인트를 칠해 화재사고에 대비하는 기존 공법에서 탈피해 기둥표면을 내화물질로 감싸는 방식으로 내화페인트처럼 양생기간이 필요 없어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평창동계올림픽 미디어 레지던스에는 고부가가치 강재가 다수 사용됐다. 아연, 마그네슘, 알루미늄 등이 도금돼 일반 아연도금강판보다 5배 이상 내부식성이 강한 포스맥(PosMAC)을 섬유 질감이 느껴지도록 특수 프린트해 욕실과 벽체의 외장재로 적용했고, 알루미늄-아연 도금강판인 알자스타(ALZASTA)는 반짝이는 스팽글 무늬와 질감을 갖도록 표면처리 해 방화문과 배관함, 복도에 사용했다. 욕실내부에는 반사율이 강점인 스테인리스강인 포스에스디(PossSD)가 적용돼 있다.
특히 포스코는 미디어 레지던스 공사과정에서 300개 객실 모두에 이동형 유닛 방식을 적용해 일반 콘트리트로 지었을 경우보다 건설기간을 18개월 단축해 주목 받았다. 이동형 유닛방식은 객실을 100% 공장에서 사전제작해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이다.
이동형 유닛방식으로 건설된 객실은 다른 곳으로 이동시켜 재사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사용 후 철거가 불가피한 시설물에 적격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미디어레지던스는 평창올림픽과 패럴림픽 이후 다른 지역으로 옮겨져 호텔이나 기숙사로 활용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포스코는 관동하키센터의 모든 외부 벽면에 포스코 스테인리스강 329LD를 적용해 내식성과 강도를 높였으며, 최적의 두께를 산출하는 구조해석 솔루션을 함께 제공해 설계보다 두께를 25% 줄이는 성과도 거뒀다.
포스코 관계자는 "이번 평창동계올림픽과 패럴림픽을 계기로 월드프리미엄 제품과 솔루션을 하나로 묶어 주거용, 산업용 등 다양한 패키지 솔루션으로 확대 적용해나갈 계획"이라며 "이번 미디어레지던스에서 우수성이 확인된 이동형 유닛 솔루션 등을 베이징올림픽을 비롯한 세계적인 스포츠이벤트에 활용하는 방안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