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텍스프리, 유안타제1호스팩과 합병 상장 추진
상태바
글로벌텍스프리, 유안타제1호스팩과 합병 상장 추진
  • 김동호 기자 news4u@cstimes.com
  • 기사출고 2017년 06월 13일 10시 44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김동호 기자] 국내 택스리펀드(세금환급) 기업인 글로벌텍스프리(대표 강진원, 이하 GTF)는 유안타제1호스팩과 합병 상장을 결정했다고 13일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현재 유안타제1호스팩과 코스닥 합병 상장을 추진 중"이라며 "유입된 자금은 유럽시장 진출 등 해외사업 확장에 활용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2005년 설립한 GTF는 코스닥 상장법인인 브레인콘텐츠에 2014년 피인수된 후 고속성장해왔다. 환급금액 기준으로 지난 2013년부터 4년 연속 국내 택스리펀드 시장점유율 1위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중국 정부의 사드 제재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GTF의 지난해 실적은 별도 기준 매출액 407억5200만원, 영업이익 100억2700만원, 순이익 46억3000만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78.8%, 144.8% 성장했으며 영업이익은 205.5% 급증했다.

회사 관계자는 "택스리펀드 시장은 지속적인 관광객 증가와 관광산업 확대를 위한 정부 정책 등으로 장기 전망이 밝다"며 "최근 사드 완화 움직임도 이어지고 있어, 중국인 관광객 유입도 다시 활성화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고 말했다.

주중 한국대사관에 따르면, 새 정부 출범 이후 하루 평균 개별 비자 신청 수가 지난 3월 대비 약 2배로 늘었다. 지난 5월 중순 이후로 중국 현지 여행사 사이트에도 한국 관광 여행상품 판매가 재개되는 등 한한령이 누그러드는 분위기가 감지되고 있다.

정책적 수혜도 잇따르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1월부터 관광 산업 활성화를 위해 즉시환급을 시행했으며, 같은 해 4월부터 미용성형 부가세도 환급을 가능하게 했다. 또한 환급창구운영 사업자들도 알리페이, 유니온페이 등 다양한 환급수단을 통해 편의 증진에 적극 나서며 시내환급 활성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GTF는 아시아 택스리펀드 기업 최초로 해외 법인을 설립했다. 현재 싱가포르와 일본에 현지 자회사를 두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