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전력수요 조절 스마트에너지 아파트 구축
상태바
LH, 전력수요 조절 스마트에너지 아파트 구축
  • 정경원 기자 vience@hanmail.net
  • 기사출고 2016년 06월 21일 11시 20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LG전자와 에너지 기술협력 MOU...역량강화 "향후 글로벌 공동주택 스마트 에너지 시장 선점" 노려
   
▲ LH와 LG전자는 지난 20일 LH 경지지역본부 사옥에서 '스마트에너지 분야 상호협력 및 기술교류'를 위한 기술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컨슈머타임스 정경원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 박상우)가 전력의 공급과 수요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스마트에너지 아파트 구축을 본격화하고 글로벌 공동주택 스마트에너지 시장을 선점에 나선다.

LH와 LG전자는 지난 20일 경기도 수원시 소재 LH 경지지역본부 사옥에서 '스마트에너지 분야 상호협력 및 기술교류'를 위한 기술협력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로써 LH는 태양광, 에너지저장장치(ESS), 에너지관리시스템(EMS)로 전력의 공급과 수요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스마트에너지 아파트' 구축을 본격화하게 됐다.

이번 MOU를 통해 LH는 공동주택 건축・관리분야에서 쌓은 경험과 노하우를 LG전자의 통합 에너지솔루션 역량과 결합해 에너지 자립형 공동주택 구현을 위한 스마트에너지 실증 모델과 지속가능한 공동주택 운영 사업모델 개발에 협력키로 했다.

LH는 공동주택 내 최적의 위치와 공간에 기존 비상발전기를 대체하는 ESS 장비를 설치해 건설 공사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입주자의 전기요금 부담을 경감해 ESS의 경제성을 높이고, 더 나아가 설계 및 관리방법 고도화를 통해 스마트에너지 분야 시장창출을 지원할 계획이다.

LG전자는 태양광 등 분산발전 설비와 ESS, EMS 등 종합적인 에너지솔루션 기술과 제품을 LH 아파트 단지에 실증 적용하여 공동주택 에너지 사용실태의 빅데이터 구축과 분석으로 최적의 발전 및 저장용량을 확인할 계획이다.

이번 협약으로 LH는 저비용 고효율 에너지자립형 공동주택단지 모델 구축과 최적용량의 ESS 설치 가이드라인 및 전기차 운행을 고려한 에너지 운영‧유지보수 시스템 개발을, LG전자는 LH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자사 기술과 제품 실증을 통해 글로벌 공동주택 스마트에너지 시장을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박현영 LH 건설기술본부장은 "스마트그리드 시대에 대응한 EMS, ESS의 설치‧운영‧관리 역량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도시‧주택건설 능력을 축적해 나가면 향후 인도, 동남아시아 등 신흥도시의 전력부족과 잦은 정전에도 효율적으로 대응이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앞으로도 민간기업과 협력해 에너지 신사업의 초기 시장을 개척하는 '마중물'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고 LG전자와 함께 관련된 중소기업들의 일자리 창출 사업개발에도 협력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LG전자 B2B부문장 겸 에너지사업센터장 이상봉 사장은 "공동주택 스마트 에너지 분야는 다양한 에너지관련 기술이 집약돼 그 가능성을 주목 받는 시장" 이라며 "이번 MOU를 계기로 글로벌 에너지시장 선점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고 에너지 신산업 발전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