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컬레이터 두줄서기 캠페인' 8년 만에 사라진다
[컨슈머타임스 이수영 기자] '에스컬레이터 두 줄 서기' 캠페인이 8년 만에 중단된다. 에스컬레이터에서 뛰는 이용객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국민안전처는 에스컬레이터에서 뛰지 않기 등 에스컬레이터 안전이용수칙을 마련해 내달부터 지하철 등에서 홍보를 시작한다고 20일 밝혔다.
업계에 따르면 정부부처, 관련단체, 전문가, 시민단체 등 24개 기관은 여론조사와 토론회를 거쳐 △손잡이 잡기 △걷거나 뛰지 않기 △안전선 안에 탑승하기 등으로 에스컬레이터 안전이용수칙을 정했다.
지난 2007년부터 지하철 등에서 대대적으로 벌인 '에스컬레이터 두 줄 서기' 캠페인은 중단한다.
'한 줄 서기'를 선호하는 여론이 적지 않고, 한 줄 서기가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다는 근거도 없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시철도공사 등 에스컬레이터 운영 기관은 새 안전이용수칙이 조기에 정착되도록 다음달부터 뛰는 이용자를 계도하고 경고방송도 할 예정이다. 혼잡한 역사는 1분당 30m 속도를 유지한다. 노인층 이용자가 많은 역사는 1분당 속도를 25m로 낮춰 운영할 계획이다.
위생을 이유로 손잡이 잡기를 기피하는 이용자를 고려해 청소·소독주기를 단축하는 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다.
사고 감축을 위해 역주행방지장치 의무화 이전에 설치한 에스컬레이터도 올 2018년까지 모두 역주행방지장치를 설치하도록 운영 기관과 협의하기로 했다.
에스컬레이터 이용 중 뛰지 않기 안전수칙이 정착되지 않으면 과태료를 부과하는 방안도 검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