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안우진 기자 | 우리나라 스마트폰 사용률은 2024년 기준 98%에 달할 정도로 매우 높으며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발표한 '2024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 이용자 중 22.9%가 과의존 위험군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을 통해 주로 소비되는 콘텐츠는 영화, TV, 동영상, SNS, 게임, 메신저, 쇼핑, 교육 등으로 다양하다. 이러한 콘텐츠는 흥미롭고 재밌는 정보뿐 아니라 자극적이거나 부정적인 정보도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의 감정과 인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스마트폰을 통한 정보 소비가 일상화되면서 최근 부정적인 뉴스나 콘텐츠를 무의식적으로 반복해 소비하는 행태를 가리키는 '둠스크롤링(Doomscrolling)'이라는 신조어도 등장했다.
Doom(파멸)과 Scrolling(스크롤)의 합성어로 재난, 전염병, 전쟁, 경제 위기 등의 부정적인 정보에 몰입해 끝없이 스크롤 하며 소비하는 행위를 뜻한다.
중독성 있는 콘텐츠는 스크롤을 멈추지 못하게 하며 정보에 대한 호기심과 새로운 정보를 통해 불안감을 해소하려는 심리가 더 해져 둠스크롤링을 유발하게 된다.
대동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유영선 과장은 "스마트폰은 현대사회에서 유용한 도구지만 지나친 사용과 과잉 정보는 정신 건강에 해가 될 수 있다"며 "새로운 정보를 접하면 뇌에서 도파민이 분비돼 일시적으로 만족감이나 흥미를 느끼게 되지만, 이러한 자극이 반복되고 과도해질 경우 뇌의 보상 시스템이 지나치게 활성화되면서 오히려 불안장애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둠스크롤링처럼 부정적인 뉴스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현실을 지나치게 비관하게 되거나 불안·우울 같은 정신 건강 문제와 수면 장애로도 이어질 수 있어 스마트폰을 통한 정보 소비의 양과 질을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불안은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정상적인 감정으로 스트레스, 고통, 위험이 예상되거나 예측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감정으로 불쾌감, 모호한 두려움, 긴장감, 우울 등의 정신적 반응과 가슴 두근거림, 근육 긴장, 빠른 호흡, 땀 분비 증가, 소화 장애, 두통 등 신체적 반응이 나타난다.
이러한 반응은 일반적으로 위험에 대비하거나 적응하는 자기방어적인 반응이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로 불안이 지속되거나 감정 통제가 어려운 경우 불안장애를 의심할 수 있다. 이때는 반드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통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불안장애의 원인은 복합적이며 범불안장애, 사회불안장애, 분리불안장애, 공황장애 등으로 분류한다.
△특별한 이유 없이 불안하고 초조한 경우 △일어나지 않은 위험 상황을 크게 걱정하는 경우 △최악의 상태만 상상하는 경우 △사소한 것에 크게 걱정하는 경우 △주위에서 도와주지 않거나 도움이 안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심장마비, 질식 등 위급한 증상을 호소하나 검사상 특별한 원인이 없는 경우 등의 상황이 반복된다면 불안장애를 의심해 볼 수 있다.
둠스크롤링은 단순한 습관이 아닌,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위험한 정보 소비 방식으로 사용자의 의식적인 조절 및 자기 관리 습관이 중요하다.
하루 30분 이내로 소셜 미디어 사용 시간을 제한하며 믿을 수 있는 출처의 뉴스와 긍정적 콘텐츠 중심의 소비를 해야 한다. 온라인 활동뿐만 아니라 운동이나 오프라인 취미 등을 병행하며 불안이나 우울감이 지속될 경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상담을 하도록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