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버넌스포럼, 삼성바이오 분할 '투명성' 지적
상태바
거버넌스포럼, 삼성바이오 분할 '투명성' 지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거버넌스포럼 "삼성바이오에피스 상장 효과 무관할 수 없어"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전경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전경

컨슈머타임스=김예령 기자 |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인적 분할 발표에 대해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이 그룹 차원의 명확한 설명을 촉구하고 나섰다. 

단순한 사업 효율화가 아닌 삼성그룹 지배구조 전반과 연결된 사안인 만큼, 의사결정의 주체와 그 배경을 보다 투명하게 밝혀야 한다는 지적이다. 

23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부만 회사에 남기고,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와 신약 개발 부문을 맡는 자회사 '바이오에피스'는 분리 운영하기로 했다. 분리된 삼성바이오에피스는 신설 지주회사 '바이오에피스홀딩스' 산하로 편입된다.  

회사는 이번 분할 배경으로 CDMO 부문의 주요 고객사가 삼성바이오에피스와 경쟁 관계에 있는 경우가 있어, 이해충돌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거버넌스포럼은 "인적 분할에 관한 직접적 사유는 이해가 간다"면서도 "이번 분할이 삼성그룹 전체의 거버넌스(의사결정 구조) 개편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이재용 회장이나 삼성물산, 삼성전자에 대한 유불리가 무엇인지 등이 밝혀지지 않아 시장이 이를 추정하고 검증하는데 매우 바빴다"고 지적했다. 

거버넌스포럼은 이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그룹 차원의 결정이 아니었다고 선을 그었지만, 이처럼 기업집단 내 중요 거래라면 결정의 주체와 의사결정 목적, 관련 정보가 투명하고 명확하게 공개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의 100% 자회사인 삼성바이오에피스가 상장되는 효과가 발생하는 만큼 해당 사안을 삼성물산과 삼성전자와 협의하지 않았다는 것은 비상식적이라는 설명이다. 

현재 삼성물산과 삼성전자는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지분을 각각 43%와 31% 보유 중이다.

거버넌스포럼은 "이 같은 기업집단 차원의 의사결정이나 이해관계 문제의 공개는 우리나라에서는 법의 사각지대에 있다"며 "공정거래법이 기업집단 규제를 하지만 기업집단의 규모와 경제력 집중 문제만 다룬다"고 꼬집었다.

이어 "법제화로 '그룹 차원의 결정'을 하는 주체를 규정하고, 이 결정 과정에서 개별 회사의 일반주주와 채권자를 보호하는 방안을 정해야 한다"며 "체계적 기업집단 거버넌스를 위한 법·제도의 정비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