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김동현 기자 | 금융당국이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에 대해 칼을 빼들었다. 총 23조9000억원 규모 중 52.7%인 12조6000억원 어치 부실 PF를 올해 상반기 내 정리·재구조화를 마치겠다는 계획이다.
금융감독원은 22일 '전 금융권 부동산 PF 정리·재구조화 경과 및 그간의 실적'을 발표하고 이 같이 밝혔다. 당국은 "올해 3월 말까지 9조1000억원이 정리·재구조화됐으며 4∼6월 중 3조5000억원이 추가로 정리·재구조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앞서 금융당국은 작년 6월부터 전 금융권을 대상으로 두 차례에 걸쳐 PF 사업성 평가를 한 결과 경·공매 등 정리 및 신규 자금 투입을 통한 재구조화가 필요한 '유의'(C)·'부실우려'(D) 등급 여신은 총 23조9000억원으로 집계했다. 다만 이날 제시한 상반기 예상 정리·재구조화 물량은 작년 말 발표했던 올해 상반기 목표치(16조2000억원)보다는 3조6000억원가량 적은 수치다.
한구 금감원 부원장보는 이에 대해 "16조2000억원 중 9조원가량이 정리 계획이었고, 나머지가 재구조화 물량이었는데 대주단 교체나 사업 용도 변경, 인허가 등 법적 절차에 시간이 좀 더 소요됐다"며 "목표 대비 3조원정도 재구조화가 지연돼 아직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금감원은 양해각서(MOU)를 제출했거나, 추가 자금조달 계약 체결이 임박한 사업장 수를 고려했을 때 2분기 중 중대형 사업장(500억원 이상)에서 1조6000억원 규모의 정리·재구조화가 완료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저축은행의 4차 PF 정상화 펀드에 1조5000억원 규모의 PF 여신 매각이 6월 중 마무리될 것으로 봤다.
금감원은 올해 1월부터 운영 중인 PF 정보공개 플랫폼에 공개된 부실 사업장 중 4000억원 규모도 가격협상이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4월말 기준 정보공개 플랫폼에 공개된 사업장은 395개(익스포저 기준 6조5000억원)로, 소송 등 불가피한 사유를 제외한 공개대상 사업장 중 95%가 공개됐다.
정리·재구조화가 진행될 경우 오는 6월말 잔여 부실은 전체 11조3000억원 수준이 될 것으로 금감원 측은 예상했다.
한편, 금감원은 향후에도 부동산시장 회복 지연 등에 따른 추가 부실 발생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앞으로도 부실 정리·재구조화를 상시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