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1분기 국내 경기 위축으로 술집과 숙박업 소상공인 매출이 1년 전보다 10% 넘게 꺾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몇 년간 고금리가 이어진 가운데 개인사업자 대출이 있는 사업장 약 362만개 중 50만개는 폐업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22일 한국신용데이터(KCD)의 '2025년 1분기 소상공인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소상공인 사업장당 매출 평균은 약 4천179만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인 작년 1분기보다 0.72% 줄었고, 직전 분기인 작년 4분기보다는 12.89% 급감했다.
KCD 관계자는 1분기 소상공인 매출 하락과 관련해 "경기 위축과 연말 특수가 사라진 계절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특히 외식업은 모든 세부 업종에서 매출이 줄었다.
1년 전과 비교해 술집(-11.1%) 매출이 가장 큰 폭으로 쪼그라들었고 분식(-7.7%), 제과점·디저트(-4.9%), 패스트푸드(-4.7%), 카페(-3.2%) 등도 일제히 매출이 감소했다.
서비스업에서는 숙박·여행서비스업 부진이 두드러졌다. 숙박·여행서비스업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11.8% 급감했다.
KCD 관계자는 "특히 외식업과 숙박업은 소비자의 선택적 지출 대상이라, 경제 상황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소상공인들은 경영 사정이 이렇다보니 대출 원금과 이자를 제때 못 갚는 경우가 늘었다. 빚을 남긴채 폐업한 사례도 상당히 있었다.
KCD 보고서에 따르면 1분기 말 기준 개인사업자 대출이 있는 사업장은 모두 361만9천개로 추산됐다.
이 가운데 86.2%(312만1천개)는 정상 영업 중이지만, 13.8%(49만9천개)는 폐업(국세청 신고 기준) 상태였다.
폐업한 사업장의 평균 연체액은 640만원, 평균 대출 잔액은 6천243만원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