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바이오 10대 R&D 전략 분야' 지정…"부처 간 협업 강화"
상태바
정부, '바이오 10대 R&D 전략 분야' 지정…"부처 간 협업 강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김예령 기자 | 정부가 바이오산업 전반의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등 10대 중점 연구·개발(R&D) 분야를 지정하고 분야별 전략적 투자 및 부처 간 협력체계 구축에 나선다. 

정부는 20일 서울 중구 국가바이오위원회 회의실에서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주재로 제2차 국가바이오위원회 회의를 개최하고 이 같은 내용의 '정부 바이오 R&D 중점분야 및 추진 방향 제안'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에는 이 권한대행 및 정부·민간위원과 바이오산업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정부 바이오 분야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 국가바이오위원회는 지난 1월 출범 이후 과학·의료, 자원·혁신, 제조·전환 등 3개 분과위원회를 운영하고 바이오 기업협의회를 여는 등 정책 과제를 논의해 왔다.

우선 바이오위원회는 정부 바이오 R&D가 확대되고 있음에도 부처별로 정책이 분절돼 성과 창출이 미흡하다고 보고 중점 분야별 전략적 R&D 추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지정된 10대 중점 분야는 △AI 신약 개발 △바이오헬스 데이터 구축 연계·활용 △방사성의약품 △첨단뇌과학 △첨단 의약품 및 의료기기 제조 혁신 △그린바이오 소부장 △합성생물학 △미래 식량자원 △감염병 치료제 △탄소저감형 바이오 소재 및 에너지 등이다. 

정부는 해당 내용을 관계 부처에 전달해 내년도 정부 R&D 예산 편성 시 반영하도록 하고, 분야별 신규 과제 기획 시 부처 간 협의체를 구성해 정책 실행력을 높이겠다고 했다.

이날 바이오위원회는 글로벌 바이오 정책 현황 및 대응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위원회는 한국의 바이오 R&D 정부 지원 및 민간 투자 규모가 2022년 기준 11조7000억원 수준으로, 글로벌 제약사 1곳 수준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또 바이오 클러스터 간 협업 부족, 규제 개선 미비, 특정 국가에 대한 원료의약품 의존도, 기술격차 등도 문제로 꼽혔다. 

이에 대해 정부는 바이오위원회를 중심으로 정부 및 산·학·연·병 간 유기적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전략기술 집중 투자와 바이오기업 제조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국산화율을 높이고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를 위해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세계 수준의 바이오 데이터 관리 체계도 도입하겠다고 설명했다.

이 권한대행은 "바이오 기술을 중심으로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기를 맞이하는 상황에서 핵심 바이오 기술을 전략화하고 있는 세계 선도국과 경쟁하기 위해 전 부처의 역량을 결집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바이오와 타 분야와의 긴밀한 연계·협력을 강화하도록 관계 부처와 산·학·연·병이 함께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