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로 반등 노리는 삼성전자…대형 인수합병 광폭 행보
상태바
M&A로 반등 노리는 삼성전자…대형 인수합병 광폭 행보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곽민구 기자

컨슈머타임스=곽민구 기자 | 삼성전자가 유럽 최대 공조업체 인수 등 대형 인수합병(M&A)에 나서고 있다.

최근 주력 사업인 반도체에서 부진한 가운데 △로봇 △인공지능(AI) △메드텍(의료기술) △오디오·전장 등 미래 신성장 산업에 대한 투자를 통해 반등을 꾀하겠다는 방침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지난 14일 영국계 사모펀드 '트라이튼'이 보유한 독일 공조업체 플랙트 지분 100%를 15억 유로(약 2조4000억원)에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플랙트는 100년 이상 축적된 기술력을 가진 공조기기 업체로, 가혹한 기후 조건에서도 최소한의 에너지로 깨끗하고 쾌적한 공기의 질을 구축하고자 하는 프리미엄 공조 기업이다. 고객별 니즈에 맞춘 제품과 솔루션을 공급할 수 있는 라인업과 설계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이 회사는 그동안 △안정적 냉방이 필수인 대형 데이터센터 △민감한 고서·유물을 관리하는 박물관·도서관 △유동인구가 많은 공항·터미널 △항균·항온·항습이 중요한 대형 병원 등 다양한 시설에 고품질·고효율 공조 설비를 공급해왔다.

최근에는 글로벌 대형 데이터센터 공조 시장에서 뛰어난 제품 성능과 안정성, 신뢰도 있는 서비스 지원 등으로 높은 고객 만족도를 확보하며 빠른 성장세를 지속해 오고 있다.

공조사업은 가정과 다양한 상업·산업 시설에 최적의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온습도를 제어하는 산업으로 최근 지구온난화, 친환경 에너지 규제 등으로 글로벌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공조사업 중 공항, 쇼핑몰, 공장 등 대형 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중앙공조 시장은 2024년 610억 달러에서 2030년 990억 달러로 연평균 8%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중 데이터센터 부문은 2030년까지 441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18%의 높은 성장률로 공조 시장을 견인하고 있으나 글로벌 공급 경험, 최적의 설계와 솔루션 제시 역량을 갖춰야 하는 등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이다.

삼성전자는 △생성형 AI △로봇 △자율주행 △확장현실(XR) 등의 확산에 따라 데이터센터 수요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글로벌 톱 티어 공조 업체 플랙트를 전격 인수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AI, 데이터센터 등에 수요가 큰 중앙공조 전문업체 플랙트를 인수해 글로벌 종합공조 업체로 도약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라며 "앞으로 고성장이 예상되는 공조사업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지속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국내 최초 2족 보행 로봇 '휴보'. 사진=레인보우로보틱스 홈페이지
국내 최초 2족 보행 로봇 '휴보'. 사진=레인보우로보틱스 홈페이지

이처럼 삼성전자는 최근 미래 성장 산업 관련 기업을 잇따라 인수하고 있다. 이달 초에는 자회사 하만을 통해 미국 마시모 오디오 사업부를 3억5000만 달러에 인수했으며, 작년 하반기에는 영국 옥스퍼드 시맨틱 테크놀로지스(AI)와 한국 레인보우로보틱스(로봇) 등을 인수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삼성전자의 잇따른 M&A에 대해 반도체, 스마트폰, TV, 가전 등 기존 사업 분야의 수익성이 악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차세대 먹거리 발굴을 위한 필수적인 행보라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성공적인 M&A로 평가받는 하만 인수 이후 또 하나의 사례가 등장할지도 주목하고 있다. 인수 첫해인 2017년 600억 원에 불과했던 하만의 영업이익은 지난해 1조3000억 원으로 크게 뛰었다.

삼성전자는 지난 3월 주주총회에서 "로봇 AI와 휴머노이드 분야의 국내외 우수 업체, 학계와 협력하고 유망 기술 투자와 인수를 추진할 것"이라고 선언한 바 있다.

업계 관계자는 "차세대 성장 시장인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를 이어간 것에 의미가 있다"라며 "다양한 미래 먹거리가 있는 만큼 또 다른 M&A 소식이 기다려진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