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강나연 기자 | 조선, 자동차 등 분야에 대한 한국의 대미 투자가 한미 통상 협의에서 미국의 상호관세를 낮추는 데 중요한 도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트럼프 1기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무역 담당 선임 국장 겸 대통령 특보를 지낸 케이트 칼루트케비치 맥라티 전무이사는 2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 글로벌 신통상 포럼' 기조연설자로 나서 이같이 말했다.
칼루트케비치 전 특보는 "한국이 조선, 자동차, 핵심 광물 등 분야에서 미국에 중요한 투자를 하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며 "이런 부분에 대한 미국과의 협업이 큰 강점으로 보여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런 분야의 협력이 상호관세를 상쇄하는 중요한 도구가 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도 이런 부분을 보면서 관세 등에서 (한국에) 우호적인 노력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전망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코트라)가 주최로 열린 이날 포럼에서 칼루트케비치 전 특보는 '트럼프 2기 핵심 통상정책과 전망, 한국 기업에 제언'을 주제로 발표했다.
그는 한국 기업들이 미국 의회 의원들을 '소통 창구'로 활용할 것을 조언했다.
칼루트케비치 전 특보는 "미국에 투자한 한국 기업들은 해당 주의 의원들에게 관세가 노동·채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적극적으로 설득할 필요가 있다"며 "그렇게 한다면 미국에서 우호적인 사업 환경을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재선을 노리는 공화당 하원 의원들을 설득할 것을 조언하며 "그들은 관세가 자신이 속한 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민감하게 살펴보고 있다며 "한국 투자기업의 이해를 지키기 위해 노력해 줄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미국이 중국 같은 경쟁국뿐 아니라 동맹국에도 관세를 부과하는 것에 대해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국가들이 있지만, 이는 무역 협상의 장으로 나오게 하려는 목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의 상호관세 90일 유예 조치를 예로 들면서 "예상했던 행보"라며 "관세를 협상의 도구로 사용하려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덧붙였다.
미국의 자동차 관련 관세 조치 완화 움직임과 관련해 그는 "자동차 관련 협상이 열려있다는 것으로 굉장히 의미가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을 원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월스트리트저널(WSJ), 로이터통신 등 외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고율 관세에 따라 자동차 산업이 받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완성차에 다른 관세가 중복으로 부과되는 것을 막기로 했으며 이를 곧 발표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그는 지난주 워싱턴 DC에서 열린 한미 재무·통상 장관 2+2 통상 협의와 관련해 "굉장히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기본적으로 한국 정부와 기업들이 미국 정부와 "여러 아웃리치 활동을 통해 효과적으로 잘 소통하고 있는 것 같다"며 "미국 국민들 역시 한국 기업과 제품에 우호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2기 통상 정책에 대해 "근본적으로 '중국 요인'으로 여러 조치를 취하고 있는 것"이라며 "동맹국인 한국은 공급망 등 부분에서 역할이 더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통상 협의에서 방위비 분담금 문제 등 군사 부분에 관해서도 얘기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라며 "군사 파트너십은 트럼프에게도 중요한 부분"이라고 언급해 미국이 '방위비 청구서'를 내밀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했다.
칼루트케비치 전 특보는 한국이 6월 대선을 앞둔 상황임을 언급하면서 "'90일 유예기간' 안에 협상하면서 이번 협상의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는 신호를 (미국 측에) 보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