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 유예, '국채 금리 급등' 때문…재산 위험해진 탓?
상태바
트럼프 관세 유예, '국채 금리 급등' 때문…재산 위험해진 탓?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NYT "트럼프 금융자산 60%가 채권"
백지위임 않은 자산 이해충돌 지적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컨슈머타임스=이승구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무차별적인 관세 폭탄을 쏟아내다가 갑자기 90일간 유예로 입장을 바꾼 데는 국채 금리 급등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의 자산이 채권에 집중돼있는 것으로 확인되면서 세계 경제가 휘청이는 상황에서도 가만히 있다가 자신의 재산 가치가 위태해지자 행동에 나선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지난해 기준 트럼프 대통령의 재산 내역을 분석한 결과, 채권투자액은 1억2500만 달러(약 1780억원)에서 4억4300만 달러(약 6310억원) 수준에 달했다고 18일 보도했다.

금융 자산이 2억600만 달러(약 2934억원)에서 6억2000만 달러(약 8831억원) 상당인 점을 고려하면 가장 적은 금액을 기준으로 해도 채권 비율이 약 60%에 달하는 셈이다. 반면 주식 투자 비율은 10% 미만에 불과했다.

채권의 최소가치와 주식의 최대가치를 비교하는 보수적인 추정치를 사용하더라도 트럼프 미디어를 제외하고는 주식보다 2배 많은 채권을 보유한 셈이라고 NYT는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마이크로소프트(MS)나 애플 같은 회사채 1800만 달러(약 256억원)에서 7500만 달러(약 1068억원), 미국 국채는 900만 달러(약 128억원)에서 4200만 달러(약 598억원) 수준으로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방채는 전체 채권 보유액의 80%가량에 달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 자산이 관세 유예 결정에 영향을 미쳤는지는 알 수 없다"면서도 "그가 각계의 압박과 주식시장 폭락에도 꿈쩍하지 않다가 채권시장이 패닉에 빠지자 움직였다"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유예 발표 이후 "채권 시장은 매우 까다롭다"라거나 "(채권 시장을) 지켜보고 있다"고 말해 국채금리가 주된 원인이었음을 시사한 바 있다.

관세 유예 발표 후 미국 국채 시장은 단기적으로는 다소 안정세를 보였다.

미국 국채 수익률은 미국 내 다른 채권들의 기준금리 같은 역할을 한다. 국채 수익률이 등락할 때 다른 채권들의 수익률도 그에 비례해 등락할 가능성이 크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발표 이후 채권 시장의 투매가 멈추고 채권 가격이 다시 올라가자 "지금 채권시장은 아름답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자기 재정 때문에 관세유예를 결정했다는 정황은 없고 포트폴리오 구성이 우연의 일치일 수 있다고 해설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