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항균·살균 등의 부가기능이 갖춰진 가습기를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소비자의 입맛에 맞춰 기화식 가습기(에어워셔)가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기화식 가습기가 기존 가습기보다 고가(10만원~60만원)로 판매되고 있음에도 기화식 가습기에 대한 품질 차이, 가습면적, 소음 등의 소비자정보는 부족한 상황이다. 한국소비자원은 시중에 판매 되고 있는 기화식 가습기 10종을 선정하여 사용 편리성, 가습량과 소음 측정, 소비전력 및 소모품 교체 비용에 대한 시험과 제품 광고내용에 대한 검증을 실시했다.
시험 결과, 동양매직의 VSH-05B모델과 위니아만도의 AWM-40PTVC 모델이 구입 추천 제품으로 평가됐다. 동양매직의 VSH-05B모델은 제품의 가격과 유지비용이 저렴하다는 점, 양호한 소음, 다양한 보유기능이 강점으로 평가됐고 위니아만도의 AWM-40PTVC모델은 간편한 청소, 경제적인 전기사용량, 양호한 소음 및 다양한 기능을 보유한 점이 높게 평가됐다.
한국소비자원에서는 시험·검증 내용을 바탕으로 가습기 사용에 대한 올바른 소비자정 보를 제공하는 한편 최근 소비자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기화식 가습기(에어워셔)제품들의 품질비교정보 및 구입 요령을 소개한다.
◆ 기화식가습기 제품 평가
![]() |
||
◆ 기화식가습기 품질 비교
![]() |
||
![]() |
||
◆ 가습기 구입 시 고려사항
△습도설정 기능 보유한 제품 선택

실내 습도를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해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목표습도(범위) 설정 기능이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유지관리비용(소모품 교체 비용) 고려
![]() |
||
가습기는 가습필터, 항균물질 등의 소모품을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제품의 초기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소모품 종류에 따라 교체시기와 교체비용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제품 구입 전 소모품 비용을 고려해 선택한다.
△ 청소가 편리한 모델을 구입
![]() |
||
가습기는 관리가 소홀할 경우 세균이 증식하거나 악취를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어 주기적인 청소를 필요로 한다. 물통이나 팬 등의 부품 청소가 어려울 경우 제품 내부에 세균 증식·악취 발생 가능성이 커져 청소가 편리한 모델을 구입하는 것이 좋다.
△가습기 이동 잦은 경우 제품무게 고려
실내에서의 가습기 이동이 잦은 경우에는 제품 구입 시 이동 편리성 여부를 따져보는 것이 좋다. 특히기화식가습기의 경우 가습필터, 수조부, 팬 등의 부품이 포함돼 있어 다른 형태의 가습기보다 부피가 크고 무거운 것이 일반적이다. 물을 쏟지 않고 이동하기 어려울 수 있어 제품 무게와 부피·손잡이 등의 구조를 고려해 구입한다.
◆ 가습기 관련 상식
△ 세탁물, 가습식물, 어항 등이 가습기를 대체할 수 있을까?
단순히 실내습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이라면 일정 부분 대체가 가능하다. 손으로 탈수한 목욕타월 2장이면 일반 가습기의 가습량(200g/h이상)의 성능을 보인다.

그러나 실내습도를 원하는 수준에서 유지·관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일반 세탁물이나 어항, 가습식물 등의 대체품 사용이 어렵다. 가습량(g/h) 조절 및 적절한 습도 유지가 힘들기 때문이다. 가습 효과가 미미하거나 혹은 과습의 우려가 있어 일반 세탁물 등의 생활소품으로 가습기의 기능을 완전히 대체하기는 어렵다.
△ 가습기, 세균의 온상이라는데…
가습기는 세균의 온상이 될 수는 있어도 세균 자체를 만들어내지는 않는다. 즉 가습기를 통해 분출되는 세균은 이미 가정 내에 존재하고 있던 세균이 증식하여 배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가습기의 세균이 걱정된다면 집안을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먼저라는 점을 생각해야 한다.
우리는 항상 세균과 공존하며 살아가고 있기 때문에 신체는 세균에 대항하는 일정 수준의 저항력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일상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세균에 과민반응을 보이거나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다.
△청소가 필요 없는 가습기는 없을까?
모든 종류의 가습기는 청소가 필요하다. 초음파식·가열식·기화식 등 가습기의 종류에 따라 세균 발생량에 차이가 있지만 가습기 내부의 악취를 예방하고 물때를 제거하기 위한 주기적인 청소는 모든 가습기에 공통적으로 필요하다.
◆ 가습기의 종류별 특징
![]() |
||
◆ 가습기 종류별 장·단점 비교
![]() |
||
<출처=한국소비자원 T-gate(www.tgate.or.kr)>
리뷰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