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에 加·멕·中 보복관세 …'트럼프發 세계무역전쟁' 격화
상태바
美관세에 加·멕·中 보복관세 …'트럼프發 세계무역전쟁' 격화
  • 인터넷팀 admin@cstimes.com
  • 기사출고 2025년 03월 05일 09시 36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加, 30조원 상당 美 수입품에 25% 관세…트럼프는 재보복 경고
멕, 9일 보복관세 품목 발표…中, 트럼프 1기 때처럼 농산물 겨냥
트럼프 미국 대통령

미국이 4일(현지시간)부터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새로운 관세를 부과하고 3개국이 보복에 나서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시작한 '관세 전쟁'이 격화하는 양상이다.

미국과 이들 3개국의 무역 갈등은 세계 각국의 공급망과 교역 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상황에서 그 파급력이 이들 국가로 한정되지 않고 한국을 포함한 세계 경제에 큰 부담이 될 것으로 우려된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무기화'는 이제 시작을 알렸을 뿐이고 앞으로 더 많은 국가와 품목이 표적이 될 가능성이 커 트럼프 대통령이 세계 무역 질서에 일으킨 풍파가 한동안 계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은 이날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수입한 제품에 25% 관세를, 중국에서 수입한 제품에는 지난달 10%에 이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미국과 이미 무역 전쟁을 치른 중국은 이번에도 표적이다.

미국은 이미 지난달 4일부터 중국에 1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고, 트럼프 1기 행정부 때 여러 품목에 부과한 25% 관세가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에 중국산 제품은 이날부터 최대 45%의 관세를 적용받는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명분은 마약 단속이다.

그는 3개국을 통해 '좀비마약'으로 불리는 마약성 진통제 펜타닐이 미국으로 다량 유입되고 있다고 주장하며 3개국이 펜타닐 유입을 충분히 차단할 때까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래픽] 미국발 관세전쟁

이런 자의적인 관세 부과에 3개국은 강하게 반발하며 맞대응에 나섰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캐나다가 300억 캐나다 달러(약 30조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25% 관세를 즉각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또 미국의 관세 부과가 지속되면 21일 후 추가로 1천250억 캐나다달러(약 125조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도 관세를 시행하겠다고 예고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미국의 관세가 모욕적이고 일방적이라고 비판하면서 "트럼프 정부 결정에 아무런 정당성이 없다"고 반박했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우리는 미국의 결정에 관세·비관세 (투 트랙) 조처로 맞대응한다"면서 미국산 제품에 대한 보복 관세를 예고했다.

지난달 트럼프 대통령의 첫 10% 관세에 제한적으로 대응했던 중국은 이날 두 번째 10% 관세에 대해서는 대응 수위를 올렸다.

중국은 오는 10일부터 닭고기, 밀, 수수, 대두 등 일부 미국산 농축산물에 10∼15%의 추가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1기 행정부 때와 마찬가지로 미국 공화당의 가장 아픈 곳으로 꼽히는 농산물을 다시 겨냥한 것이다.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의 최대 수출 시장으로 2023년 미국이 수출한 농산물의 17%를 구매했다.

중국은 관세 이외의 보복 수단도 활용했다.

중국은 해충이 발견됐다는 이유로 미국산 원목 수입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미국과 이들 3개국의 무역 전쟁이 전면전으로 확산할 경우 한국을 비롯한 세계 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작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멕시코에는 삼성전자, LG전자, 기아, 현대모비스, 현대트랜시스 등 400여개 한국 기업이 생산 기지를 두고 있다.

이들 기업은 멕시코가 미국보다 생산원가가 저렴한 데다 멕시코에서 생산한 제품을 미국에 무관세로 수출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해왔기 때문에 새로 부과되는 관세가 부담이 될 수 있다.

미국의 관세 장벽에 막힌 값싼 중국 공산품이 미국 대신 한국 등 주변국에 쏟아지면서 한국 기업들이 저가 물량 공세에 시달릴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