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경영권 분쟁 종식' 신호탄…'형제 측' 사외이사 2명 사임
상태바
한미 '경영권 분쟁 종식' 신호탄…'형제 측' 사외이사 2명 사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인연합, 한미약품·사이언스 이사회서 우위…경영권 장악
그룹 관계자 "경영권 분쟁 종식 및 경영 정상화 첫걸음"

컨슈머타임스=김예령 기자 | 이른바 '4인 연합'과 '형제 측'이 동률이던 한미사이언스 이사회의 '5대 5' 균형이 깨지면서  1년 이상 지속된 한미약품그룹의 경영권 분쟁이 종식될 전망이다. 

'형제 측' 인사로 분류되는 사외이사 2명이 사임했기 때문에 4인 연합이 이사회에서 우위를 점해 한미사이언스의 경영권을 장악했기 때문이다. 

12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한미사이언스 사봉관 사외이사는 지난 10일 일신상의 이유로 자진 사임했고, 기타 비상무이사인 권규찬 이사도 사임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등기이사 수는 기존 10명에서 8명으로 줄었다. 

이들은 모두 형제 측 인사로 파악된다.

이에 따라 '4인 연합' 5명대 '형제 측' 5명으로 동률이던 이사회 구도는 5대 3으로 재편되면서 균형이 깨졌다.

업계는 4인 연합이 한미사이언스 이사회 우위를 점하면서 경영권 다툼이 마침표를 찍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미약품그룹 경영권 분쟁은 고(故) 임성기 한미약품 창업주의 배우자인 송영숙 한미약품 그룹 회장과 딸 임주현 부회장 등 '모녀 측'이 상속세 문제 해결 등을 위해 작년 초 OCI그룹과 통합을 추진하면서 시작됐다. 

이에 창업주의 아들들인 한미사이언스 임종윤 사내이사와 임종훈 대표 형제 측은 반대하며 모녀 측과 등졌고, 모녀는 신동국 한양정밀 회장, 사모펀드 운용사 라데팡스파트너스 등과 손잡고 4인 연합을 결성했다.

4인 연합은 지난해 12월 한미약품 이사회에서 유리한 국면을 맞았다.

당시 한미약품 임시주주총회에서 이사회 구도가 4인 연합 측 6명, 형제 측 4명으로 결정돼 4인 연합이 우위를 유지하면서다.

형제 측은 4인 연합 측 인사인 박재현 한미약품 대표, 신동국 기타 비상무이사(한양정밀 회장) 등을 해임하고 형제 측 인사로 분류되는 사내이사 2명을 이사회에 진입시켜 경영권을 확보하려 했으나 우호 지분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해 실패했다.

4인 연합이 한미약품 이사회 구도에서 우위를 점했지만 경영권 갈등은 좀처럼 완화되지 않았다. 한미약품 주총 직전인 지난해 11월 한미사이언스 임시주주총회에서 이사회 구도가 5대 5 동률로 유지되면서 양측 누구도 완승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날 사 이사와 권 이사가 사임하면서 4인 연합은 한미약품과 한미사이언스 이사회 모두에서 우위를 차지, 경영권을 장악한 셈이 됐다.

한미약품그룹은 경영권 다툼 종식에 박차를 다한다는 방침이다.

한미약품그룹 관계자는 이사들 사임에 대해 "경영권 분쟁 종식과 한미약품그룹 경영 정상화로 나아가는 구체적인 첫 번째 발걸음"이라며 "조만간 이사회를 열어 이와 관련한 후속 조치를 단계적으로 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미사이언스 관계자도 "신규 이사 선임 등에 대해 추후 이사회를 열고 논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