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남시, 세종대와 '첨단산업 상생 클러스터 조성' 맞손
상태바
성남시, 세종대와 '첨단산업 상생 클러스터 조성' 맞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스템반도체 및 인공지능(AI)분야 인재 개발 및 산·학·연·관 협력 생태계 구축
신상진 성남시장과 엄종화 세종대학교 총장이 9일 시청 제1회의실에서 인공지능(AI) 첨단산업의 상생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신상진 성남시장과 엄종화 세종대학교 총장이 9일 시청 제1회의실에서 인공지능(AI) 첨단산업의 상생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컨슈머타임스=안우진 기자 | 성남시(시장 신상진)는 9일 시청 제1회의실에서 세종대학교와 인공지능(AI) 첨단산업의 상생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신상진 성남시장과 엄종화 세종대학교 총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협약식에서 양측은 △인공지능 및 반도체 설계(팹리스) 연구 등을 위한 행정적 지원 협력 △첨단기술에 대한 우수한 인력 양성 △산·학·연·관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을 위한 상생협력 체계 구축에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신상진 시장은 "성남시는 이번 협약을 통해 인공지능과 반도체 산업의 발전을 위한 행정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며 세종대와 함께 미래산업을 이끌어갈 인재를 양성하고 지역 내 융복합 클러스터를 조성해 성남시가 첨단기술의 중심지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협약이 성남시의 첨단산업 발전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앞으로도 산·학·연·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혁신적인 산업 생태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세종대학교는 최근 US News가 발표하는 'US News 2024-2025 세계대학 순위'에서 국내 3위(세계 순위도 231위)에 오르는 성과를 거뒀으며 2024년 신입생의 70%를 이공계열로 구성하는 등 4차산업혁명의 기반이 되는 공대 육성에 꾸준히 힘쓰고 있다.

성남시는 지난 4월, 인공지능(AI) 분야 최고 명문인 미국 카네기멜론대 엔터테인먼트기술센터(ETC) 캠퍼스 판교 유치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을 비롯해 2028년까지 '카이스트 성남 AI 연구원' 건립과 지난달 개소한 '성균관대학교 분당캠퍼스 팹리스 AI 성남연구센터', 내년 3월 판교 제2테크노밸리에 개소 예정인 '서강-디지털혁신캠퍼스' 등 4차산업 분야 전문 인재 양성에 매진하고 있다.

성남시는 특히 국내 팹리스기업 중 40%가 소재한 판교를 한국형 K-팹리스 밸리로 조성하기 위해 시스템반도체 관련 8개 산·학·연 기관들과 '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협약을 맺는 등 시스템반도체 산업의 전략적 육성에 전력을 쏟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윤진한 2024-12-10 10:01:31
주권과 자격!.국사 성균관자격 宮성균관대. 서강대는 예수회의 가톨릭계 귀족대학으로, 양반 성대 다음 Royal대 예우. 끝. 기타大는 불인정. 문맹이나 초등학교 출신 조선 유교 한문성명 가진 사람들을 기준으로 하겠음. 이 뒤로 주권.자격.학벌이 없어 대학으로 인정할 수 없는 패전국 일본 점쇠(성씨없는 일본 불교 Monkey계열로, 근대에 막부타도하고 천황으로 옹립되어, 하급군인들의 상징이 되었음)가 세운 마당쇠.개똥이 불교 Monkey 경성제대후신 서울대 및 그 미만 부하로 살아야하는 대학들. 본인들이 원치 않아도 대중언론은 그렇게 글을 씁니다. 주권.자격없이 대중언론.사설입시지를 통하여 평생 약탈해도, 인정받지 못함. 학교에서 교과서로 가르칠 수 없는 대학들의 약탈이 대중언론.사설 입시지를 통하여, 강력하

윤진한 2024-12-10 10:02:16
하게 형성되었지만, 正史.定論과 너무 상반됨.대중언론에서 주권없는 대학욕심보다, 조선성명 가진 한국인으로 살아가시기 바랍니다.https://blog.naver.com/macmaca/223675328446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