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교통안전공단 "겨울철, '해양사고 건수'↓· '사망‧실종 발생률'↑ 주의 필요"
상태바
해양교통안전공단 "겨울철, '해양사고 건수'↓· '사망‧실종 발생률'↑ 주의 필요"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겨울철, 선박 화재‧폭발 사고 위험 증가… '전기설비' 관리 및 사용에 유의
겨울철 화재‧폭발 사고 예방 활동 전개
(사진제공=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사진제공=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컨슈머타임스=안우진 기자 | 최근 5년(2019~2023년)간 겨울철(12~2월)의 해양사고 발생 건수는 사계절 중 가장 적었지만 사고 선박 100척당 인명피해율(사망‧실종)은 4.8%로 가장 높아 안전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KOMSA, 이사장 김준석)이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을 활용해 최근 5년(2019~2023년)간 전체 화재·폭발 사고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전체 화재·폭발 사고 785척 중 겨울철에 발생한 사고는 159척(20.3%)으로 파악됐다.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의 재결서에 따르면 사고 주요 원인은 선내 전기설비의 정비‧점검‧관리 소홀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겨울철에는 강한 풍랑, 폭설, 한파 등의 급격한 기상변화로 인해 선박 화재‧폭발 사고 시 인명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커 철저한 대비가 요구된다.

최근 5년간 겨울철 선박 화재·폭발 사고는 선박 연령 20년 이상의 노후 선박(40.3%, 64척) 또는 10톤 미만 소형의 선박(38.4%, 61척)에서 주로 발생했다.

사고 다발 지역으로는 △남해 앞바다(부산 포함) 70척 △서해 앞바다 34척 △동해 앞바다 19척 △제주 앞바다 6척 등으로 대부분 앞바다에서 81.8%(129척) 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이 해양교통안전정보시스템(MTIS)을 활용해 중앙해양안전심판원 해양사고 재결서를 기반으로 사고원인 워드 클라우드를 분석한 결과 선박 화재·폭발 사고의 주요 키워드는 △전기설비 △정비/점검/관리소홀 △전선 △단락 등으로 나타났다.

겨울철에는 선내 전열기구(온열기‧난방기 등) 사용이 늘면서 화재‧폭발 사고 위험성이 증가한다. 특히 정박 중인 선박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선박 간 연쇄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은 태안·목포·여수 등 다수의 소형 선박이 밀집 계류 중인 주요 항·포구를 중심으로 집체 점검을 실시하고 화재 초기 진압을 위한 소화기와 단독경보형 화재탐지장치 총 1,500여 개를 보급하는 등 선제적 해양안전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선박 종사자의 자율점검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화재·폭발사고 예방을 위한 자가점검 교육 영상과 축전지·전선·발전기 등 주요 점검 사항(13개)을 포함한 자가점검표 5,000부를 제작·배포할 계획이다.

아울러 겨울철(2024년12월~2025년2월) 선박검사 수검 예정인 선박 총 1,616척을 대상으로 공단이 제작한 화재‧폭발 예방 △교육 영상 △자가점검표 등을 공단 카카오톡 채널 '해수호봇'을 통해 제공할 예정이다.

김준석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이사장은 "겨울철은 풍랑특보 등 해상 기상 악화가 빈번히 발생하고 다른 계절보다 수온도 낮아 해양사고 인명피해 위험이 높은 계절"이라며 "조업 현장에서는 겨울철 화재폭발 사고 예방에 각별한 주의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은 어선사고 예방을 위한 관계기관 합동점검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해양수산부의 합동 안전점검 계획에 따라 연·근해 어선을 대상으로 화재사고 다발요인인 기관·전기설비의 취급 불량·결함 여부를 점검하는 등 현장 중심의 겨울철 사고 예방 활동을 실시하고 해양안전실천 현장 캠페인도 함께 전개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