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김지훈 기자 | 박영수 전 특별검사의 '대장동 50억 클럽' 의혹과 관련해 검찰이 18일 이순우 전 우리은행장을 소환했다.
해당 사건을 수사하는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는 이 전 행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박 전 특검이 '대장동 일당'의 청탁을 받고 우리은행의 사업 참여·대출 결정에 관여했는지를 조사하고 있다.
이 전 행장은 박 전 특검이 우리금융 사외이사회 의장으로 재직하던 2014년 당시 우리은행장으로 재직 중이었다.
검찰은 이 전 행장을 상대로 우리은행이 대장동 일당의 성남의뜰 컨소시엄에 불참하는 대신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에 참여키로 결정한 경위와 이 과정에서 박 전 특검이 직·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등을 따져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은행은 당시 성남의뜰 컨소시엄 참여를 검토했다가 회사 내규 등을 이유로 불참했다. 하지만 PF 대출엔 참여하겠다며 1500억원의 여신 의향서를 제출했다. 검찰은 이 과정에 박 전 특검이 개입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박 전 특검은 2014∼2015년 대장동 일당의 컨소시엄 구성을 돕고 PF 대출 청탁을 전달한 대가로 200억원 상당의 땅과 상가를 받기로 약속한 혐의(특정범죄가중처벌법상 수재 등)를 받는다.
검찰은 지난 3월 30일 박 전 특검의 주거지와 사무실, 우리은행 본점 등에 대한 압수수색 등 '50억 클럽 의혹' 수사를 본격적으로 재개했다.
지난달엔 우리은행 본점 심사부와 이광구 전 행장, 유구현 전 우리카드 대표이사 등도 압수수색했으며, 이달 16일엔 당시 최종 결정자였던 이 전 행장의 주거지도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를 확보한 바 있다.
검찰은 컨소시엄 관계자들에 대한 조사가 마무리되면 박 전 특검의 최측근인 양재식 변호사와 박 전 특검도 소환 조사할 예정이다.
중요한건, 직무관련성 입증 여부일것입니다. 그런데 박전 특검측은 한겨레 신문 4월 4일자 보도로, 이렇게 주장합니다. 과거 ‘이사회에서 정책적 결정에만 관여하고 구체적 사업 내용은 접한 적이 없다’고 해명했다. 최근 “대장동 개발과 관련해 그 사업에 참여하거나 금융알선 등을 대가로 금품을 받거나 약속한 사실이 없다”고도 했다.
https://blog.naver.com/macmaca/223061518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