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캔 스피크' 속 그날의 이야기, 위안부 사죄 결의안(HR121) 공청회 현장 재현
상태바
'아이 캔 스피크' 속 그날의 이야기, 위안부 사죄 결의안(HR121) 공청회 현장 재현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1_still01.jpg
[컨슈머타임스 김종효 기자] 개봉 후 박스오피스 1위를 기록하며 뜨거운 사랑을 받고 있는 '아이 캔 스피크'(제공: 리틀빅픽처스)가 위안부 사죄 결의안(HR121)이 상정됐던 10년 전의 이야기를 스크린에 고스란히 재현해 이목을 집중시켰다..

'아이 캔 스피크'는 민원 건수만 무려 8,000건, 구청의 블랙리스트 1호 도깨비 할매 옥분과 오직 원칙과 절차가 답이라고 믿는 9급 공무원 민재, 결코 어울릴 것 같지 않았던 상극의 두 사람이 영어를 통해 운명적으로 엮이게 되면서 진실이 밝혀지는 이야기. 

'아이 캔 스피크' 후반부에는 옥분(나문희)이 미 의회에 참석, 네덜란드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미첼 할머니와 함께 오랫동안 숨겨 온 진실을 밝히고 일본군의 만행을 용기 있게 증언하는 장면이 펼쳐진다. 이는 2007년도 위안부 사죄 결의안(HR121) 공개 청문회에서 증언을 했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고(故) 김군자, 얀 러프 오헤른 할머니의 모습을 영화적으로 재현한 장면으로, 관객들의 호평을 이끄는 영화의 하이라이트 씬이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1990년대 초 국내 여성운동이 성장하면서 세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UN은 일본에 진상 규명, 사죄와 배상, 책임자 처벌 등을 권고했지만 일본은 권고를 무시하고 사실 자체를 왜곡했다. 

이에 미국의 한국, 중국 교포들이 강하게 문제 제기를 했고, 일본계 미국인인 마이클 혼다 하원 의원을 필두로 이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한 미 하원 의원들이 일본 정부에게 사죄를 요구하는 위안부 사죄 결의안(HR121)을 의회에 제출했다. 

HR121 공개 청문회에는 실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고 김군자 할머니를 비롯, 네덜란드인인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얀 러프 오헤른 할머니가 증인으로 참석했다. 

이용수, 고 김군자 할머니는 일본군 위안부로 각각 대만과 중국 훈춘에 간 뒤 일본군으로부터 당했던 참혹한 실상을 용감하게 증언하며 단순한 피해자가 아닌, 당당한 주체로서 피해자 할머니들이 존재함을 세계에 알렸다. 

이렇듯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용기 있게 외친 진심의 목소리는 미국 하원의 사상 첫 일본군 위안부 사죄 결의안(HR121)을 만장일치로 가결시켰지만 일본은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공식 사과를 하지 않았다.

'아이 캔 스피크'는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이 문제를 다시 한 번 수면 위로 올린다. 열심히 현재를 살아가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옥분 할머니가 증언을 하기까지의 과정을 담담히 그려낸 이 영화는 관객들로 하여금 일본군 위안부 사안의 중심에 사건이 아닌, 사람이 있음을 알게 해 뭉클한 울림을 전한다. 

이에 관객들은 "연기력, 역사적 사실 전달에 있어선 100점도 모자람. 한국인에 국한되지 않았다는 것도 알았고... 그들은 언제쯤 반성하고 사죄할까"(네이버_sjw0****), "일본은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사과를 하지 않는다.. 라는 말이 제일 인상 깊었어요"(네이버_dlwj****), "자극적인 장면 하나 없이, 피해자분들이 입은 상처를 적나라하게 나열하지 않은 채 담담히 서술해내는 영화"(네이버_ghdt****), "과거 우리의 아픈 역사인 만큼 반드시 우리 눈으로 확인하고 잘못된 것을 바로 잡는 것이 현재 우리가 해야 할 역할이자 사명이라 생각함"(네이버_kbj9****) 등 새로운 방식으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담아낸 작품에 깊은 공감을 표하고 있다.

이처럼 일본군 위안부 사죄 결의안(HR121) 공개 청문회 현장을 사실적으로 재현, 이 문제를 다시 수면 위로 올리고 있는 영화 '아이 캔 스피크'에 관객들의 폭발적인 추천 세례가 이어지고 있다. 올 추석 극장가 남녀노소 온 가족 함께 볼 수 있는 가슴 따뜻한 영화로 강력한 흥행세를 보이고 있는 영화 '아이 캔 스피크'는 전국 극장에서 절찬 상영중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