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김예령 기자 |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과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사업을 완전히 분리하기로 하면서, 이해 상충 우려 해소와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노린 전략이라는 의견이 나온다.
기존에 한 회사 안에 CDMO와 바이오시밀러 사업이 공존함에 따라 제기됐던 CDMO 고객사의 우려를 종식하고 각 사업의 전문성을 높여 글로벌 고객사의 신뢰를 확보하려는 포석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2일 공시를 통해 단순·인적 분할 방식으로 지주회사 '삼성에피스홀딩스'를 설립한다고 밝혔다.
분할 이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순수 CDMO 사업에 집중하고 지주회사로 신설되는 삼성에피스홀딩스는 바이오시밀러 자회사 삼성바이오에피스를 100% 자회사로 편입하게 된다.
삼성에피스홀딩스는 삼성바이오로직스 내 자회사 관리 및 신규 투자를 담당하던 부문을 떼어내 신설하는 형태다. 김경아 삼성바이오에피스 대표이사가 삼성에피스홀딩스 대표이사를 겸직할 예정이다.
앞서 삼성바이오에피스는 2012년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미국 바이오젠이 공동 출자해 설립됐다. 이후 2022년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바이오젠의 지분을 전량 인수하며 100% 삼성바이오로직스 자회사로 편입됐다.
당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CDMO 역량에 바이오시밀러 연구·개발(R&D) 역량을 더해 사업 시너지를 기대했으나 이는 일부 고객사에 기술 유출 가능성을 우려하게 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CDMO 고객사 입장에서는 자사의 관련 기술이 자칫 복제약을 만드는 삼성바이오에피스로 넘어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실제 삼성바이오로직스 경쟁사로 꼽히는 스위스 론자는 CDMO에만 집중하며 고객사의 경쟁사 전환 우려를 차단하고 있다.
지난해 셀트리온의 경우 CDMO 전문기업 '셀트리온바이오솔루션스'를 출범시키면서 기술 유출에 대한 글로벌 제약사 측 우려를 어떻게 불식시킬지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을 받기도 했다.
이번 인적 분할로 삼성바이오에피스는 R&D, 글로벌 마케팅 등 핵심 역량에 더욱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게 됐다. 글로벌 제약사와의 파트너십은 물론 공동 개발 추진도 용이해질 전망이다.
특히 바이오시밀러를 넘어 신약 개발에도 시동을 걸고 있는 만큼 이 같은 시장 대응 유연성 확보는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짐작된다.
삼성바이오에피스 관계자는 이번 회사 분할에 대해 "차세대 바이오 기술 분야 사업 확대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교두보가 마련됐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