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운전자 교통안전을 위한 제도·기술·인프라 통합적 접근 필요"

컨슈머타임스=안우진 기자 | 고령운전자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고령·비고령운전자 모두 적성검사 시 안전운전 능력을 검증하는 운전 적합성 평가를 강화하는 게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도로교통공단(이사장 김희중)의 '차량보조장치 사용이 고령운전자 안전운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 보고서를 보면 고령운전자 안전대책을 묻는 질문에서 고령운전자와 비고령운전자 모두 '운전적성검사 시 운전 적합성 평가 강화'를 꼽았다. 특히 고령운전자의 응답 비율은 64.0%로, 비고령운전자(48.0%)보다 더 높았다.
이외에 고령운전자는 '고령운전자를 위한 도로안전시설 확대'(15.5%), '첨단운전지원장치 장착 의무화'(11.0%)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비고령운전자는 '첨단운전지원장치 장착 의무화'(21.0%), '조건부 운전면허제도 도입'(18.5%) 순으로 응답했다.
차량보조장치 중 비상자동제동장치에 대해서는 비고령운전자의 67.5%, 고령운전자의 77.0%가 '교통사고 예방 효과가 있다'고 응답했다.
비상자동제동장치가 고령운전자에게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도 비고령운전자 76.0%, 고령운전자 86.5%가 '그렇다'고 응답해, 해당 장치가 고령운전자에게 특히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도로교통공단 정책연구처 연구원은 "고령운전자의 이동권과 교통안전을 동시에 고려해 운전면허 반납 권고 이외에도 제도, 기술, 인프라의 통합적 접근이 중요하다"며 "비상자동제동장치 외에 안전운전에 필수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에 대한 후속 연구도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연구내용 중 인식조사는 2024년 10월 11일부터 10월 24일까지 고령운전자(65세 이상) 200명, 비고령운전자(65세 미만) 20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실시했다.
고령운전자는 교육받은 면접원이 직접 대면조사를 수행했고 비고령운전자는 국내 설문조사 전문업체를 활용한 온라인 조사로 진행했다. 연령·지역 등을 고려해 할당 표집했으며 고령자는 초기고령(65~74세)과 후기고령(75세 이상)으로 각각 50%씩 구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