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김하은 기자 |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상호관세를 발효한 이후 내수보다 수출에 의존하는 한국 경제가 상당한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주요국 중앙은행들은 금리 인하와 보복 관세 등으로 대응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환율 불안과 가계부채 확대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점차 확대되자 한국은행이 오는 17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가 90일간 유예 발표하면서 국내 시장에서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오는 5월 이후로 미뤄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당초 미국의 관세전쟁으로 경제성장률이 1%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금융시장에선 한은이 이달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은 바 있다.
그러나 요동치는 환율과 가계부채가 겉잡을 수 없이 확대되며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 트럼프 정부가 관세 유예 방침을 공론화하자 한은 금통위가 금리 동결에 무게를 둘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를 방증하듯 최근 원·달러 환율은 롤러코스터 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9일 원·달러 환율은 미중간 관세전쟁 격화에 1484.1원까지 올랐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일시 유예를 발표하면서 10일에는 27.7원 하락한 1456.4원, 11일은 전날보다 6.5원 내린 1449.9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가계부채 확대도 금리 인하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한은과 금융위는 지난 2월 토지거래허가구역(이하 토허제) 해제와 3월 재지정 이후 가계부채 확대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토허제 이후 늘어난 주택거래가가 2분기 가계부채 확대를 야기할 수 있어서다.
다만 금융권 일각에선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관세 부과에 대응하기 위한 금리 인하 행렬이 이어지면서 기준금리 인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먼저 관세 직격탄을 맞은 유럽중앙은행(ECB)은 오는 17일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다.
인도와 뉴질랜드 중앙은행도 지난 9일(현지시간) 각각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내렸다. 이로써 인도 기준금리는 연 6.25%에서 6%, 뉴질랜드 기준금리는 연 3.75%에서 3.5%로 인하했다.
주요국들의 이같은 금리 인하 추세에도 우리나라는 금리 인하가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관세정책이 우리나라 경제에 미칠 파장과 불확실성 해소가 불분명한 상황에서 한은이 섣불리 금리 인하를 단행하기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한은의 연내 금리 인하는 2회 정도로 예상됐다. 그러나 관세정책에 따른 경기 불황과 성장이 악화되면 내년 성장률이 더 낮아져 당초 예상보다 연내 금리 인하 횟수가 늘어날 것이라는 가능성도 제기된다.
당초 금융시장에선 한은이 지난 2월과 5월, 두 차례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관세정책의 여파가 큰 데다 정부의 경기부양책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한은이 금리 인하 횟수를 한 번 더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권 관계자는 "이번엔 금리 동결이 유력하지만 대내외적 불확실성 등으로 경제성장률이 내려앉을 것으로 예상되면서 한은 금통위가 5월과 하반기 중 금리 인하 카드를 꺼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