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준, 기준금리 동결…한은, 금리 인하 '제동'
상태바
美 연준, 기준금리 동결…한은, 금리 인하 '제동'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 [사진=연합뉴스]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 [사진=연합뉴스]

컨슈머타임스=김하은 기자 |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 동결 기조를 이어갔다.

미국이 또 다시 금리를 동결함에 따라 한국은행 역시 다음 달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에서 금리인하를 결정하기 쉽지 않을 전망이다. 

미 연준은 19일(현지시간) FOMC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4.25~4.5%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물가상승과 더불어 경기둔화 우려 속에서도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이다. 

앞서 연준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기 전인 2024년 9월과 11월, 12월 금리를 각각 0.25%포인트씩 총 0.75%포인트 인하했다. 이후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1월에 이어 2회 연속 금리를 동결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와 금리 차이는 1.75%포인트로 유지됐다.

수출 타격과 정국 불안 등 내수 부진 등이 잇따르고 있지만 연준은 금리 인하에 서두르지 않겠다는 의지를 다시금 내비쳤다.

이에 따라 한은도 가계부채 관리와 원달러 환율 약세로 금융 불안이 지속되며 금리 인하 속도 조절에 나설 것이란 시각이 나온다. 

유상대 한은 부총재는 이날 '시장상황 점검회의'에서 "FOMC 결과가 시장 예상과 대체로 부합했으나 파월 의장은 미 관세 정책 등으로 경제 전망의 불확실성이 커졌으며 향후 통화정책은 이러한 효과를 지켜보면서 결정하겠다는 기존의 신중한 입장을 견지했다"고 말했다.

사실 연준이 이번 FOMC에서 금리 동결로 의견을 모은 데는 고물가 영향이 컸다. 연준이 물가 지표로 주로 인용하는 개인소비지출(PCE) 지수를 보면 1월 기준 2.5%로 집계됐다. 지난해 9월 2.1%와 비교하면 0.5%포인트 오른 것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한국은행]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한국은행]

우리나라의 경우 경기 침체로 금리 인하가 시급한 상황이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정책 탓에 수출 타격이 확대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한은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를 1.5%로 대폭 낮춰잡았다. 

그러나 한은이 섣불리 금리 인하에 나설 경우 한미 금리차가 더 벌어지면서 1450원대에서 등락하는 환율이 더 급등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원달러 환율은 수출 타격 우려와 탄핵 정국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원·달러는 여전히 1450원대에 머물고 있다.

좀처럼 잡히지 않는 가계부채도 골칫거리다. 지난달 가계대출은 4조3000억원 늘며 지난해 11월(5조원) 이후 3개월 만에 최대치를 달성했다.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 거래가 활성화되면서 주택담보대출이 전월 대비 5조원가량 급증하며 가계대출이 크게 확대됐다. 

이와 함께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이 해제된 후 집값이 폭등할 것으로 전망되며 금리 인하 가능성은 더욱 희미해졌다. 실제 서울시의 토허제 해재 이후 이달 3째주 강남3구 아파트 매매가는 7년 만에 최대 폭으로 올랐다. 

한은은 향후 통화정책의 비중을 경기 하방 압력을 완화하는 데 두고 운영하겠다며 추가 금리 인하를 사실상 예고한 상태다.

다만 연준이 금리를 장기간 묶어두면서 한은도 금리 인하 속도 조절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이에 4월보다는 5월 이후 한은이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받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서울 주택시장 반등으로 동결 기대가 형성된 것으로 보이는데, 토허제 재지정 등으로 동결 기대가 차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며 "연준과의 금리차 때문일텐데 환율 측면에서 한은이 부담을 느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시장에서는 연 2회 정도면 중립금리 수준에 도달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