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선호현상 심화…주택거래 중 아파트 비중 77%로 '역대 최고'
상태바
아파트 선호현상 심화…주택거래 중 아파트 비중 77%로 '역대 최고'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김동현 기자 | 부동산 시장에서 아파트 쏠림 현상이 더욱 심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주택 매매거래 중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이 76.6%로 역대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역전세, 전세사기 등의 여파로 비(非)아파트 시장이 쪼그라든 영향이라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의 '주택유형별 매매거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주택 매매거래 64만2576건 중 아파트 거래량이 49만2052건으로 전체의 76.6%를 차지하며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6년 이래 가장 높았다. 

주택 매매거래에서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중은 60% 중후반에서 70% 초반대를 오가다가 집값이 급등기인 2020년 73.0%를 기록했다.

이후 2021년 65.9%로 다시 낮아졌고, 부동산 시장이 냉각되며 주택 거래량이 반토막 난 2022년에는 58.7%까지 떨어졌다. 

지난 2023년 발생한 역전세·전세사기 사태로 빌라(다가구·다세대·연립) 매매거래량이 급감하자 아파트 거래 비중이 다시 74.2%로 높아졌고, 지난해 역대 최고 기록을 새로썼다.

이 같은 아파트 선호 현상은 서울 등 수도권보다 지방에서 더욱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서울 주택매매 거래에서 아파트 비중은 62.4%로 역대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아파트 거래 비중이 90%를 넘는 지방 도시들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대표적으로 세종은 주택 거래의 96.3%가 아파트였다.

이 외에도 대구 주택 매매거래 2만7663건 중 90.5%(2만527건)가 아파트였고, 광주 역시 1만8497건 중 1만6740건이 아파트로 90.5%였다.

울산(89.5%), 대전(82.5%), 경남(81.9%), 부산(81.3%)은 아파트 거래 비중이 80%를 넘었다.

업계에선 아파트로 매매가 쏠리는 현상이 계속해서 심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인구 감소시대에는 환금성과 유동성의 가치가 더욱 두드러지며 아파트 선호 현상이 더욱 강해지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