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외식업계 "인상 행렬은 시작 단계…대부분 업체가 올릴 듯"

식품·외식업계에서 최근 음료, 과자, 빵 등 가공식품과 외식 메뉴 가격 인상이 이어지고 있다.
이상 기후로 일부 식재료 가격이 급등한 상황에서 원/달러 환율 상승 여파로 수입 단가도 높아져 식품·외식기업의 원가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9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동향에서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지수 상승률은 각각 2.7%, 2.9%로, 전체 소비자물가 지수 상승률(2.2%)을 웃돌았다.
주요 가격 인상 사례를 보면 동아오츠카는 지난달 1일자로 포카리스웨트, 데미소다 등 주요 제품 가격을 100원 올렸다.
대상은 설을 앞둔 지난달 16일 마요네즈와 후추, 드레싱 등 소스류 제품 가격을 평균 19.1% 인상했다.
버거킹은 설 연휴(1월 25∼30일)를 하루 앞둔 지난달 24일 대표 메뉴인 와퍼를 비롯해 일부 제품 가격을 100원씩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커피 전문점의 가격 인상도 잇따랐다. 스타벅스 코리아는 지난달 24일부터 톨 사이즈 음료 22종의 가격을 200∼300원 인상했고, 할리스도 같은 날부터 일부 제품 가격을 200∼300원 올렸다. 폴바셋은 지난달 23일부터 주요 제품 가격을 200∼400원 인상했다.
이달에도 식품·외식업체들의 가격 인상 행렬은 이어지고 있다.
CJ푸드빌이 운영하는 패밀리 레스토랑 빕스는 지난 3일 샐러드바 가격을 성인 이용료 기준으로 1천800원 올렸다.
SPC 파리바게뜨는 오는 10일부터 빵 96종과 케이크 25종 가격을 평균 5.9% 인상한다고 밝혔다.
롯데웰푸드는 오는 17일부터 초코 빼빼로를 2천원으로 200원 올리는 등 26종 가격을 평균 9.5% 인상한다.
저가 커피 브랜드도 가격 인상을 피하지 못했다. 컴포즈커피는 오는 13일부터 아이스 아메리카노와 디카페인 아이스 아메리카노 가격을 300원씩 올려 각각 1천800원, 2천800원에 판매한다.
빙그레는 다음 달 더위사냥, 붕어싸만코 등 아이스크림과 커피, 음료 일부 제품 가격을 200∼300원 올린다고 예고했다.
이들 업체는 재룟값 인상 등으로 제반 비용이 상승해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강조했다.
이런 상황에서 원/달러 환율은 최근 1,450원 안팎을 오르내리고 있다.
원/달러 환율이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급등한 상황에서 올해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외환 시장의 불확실성까지 더해졌다.
문제는 국내 식품기업들이 대부분의 식재료를 수입하고 있다는 점이다. 환율이 오르면 그만큼 수입 가격이 올라 원가 압박이 커지게 된다.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정국 혼란으로 정부의 물가 관리가 느슨해지면서 기업들의 가격 인상 움직임 속도가 빨라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