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견제' 한미일 AI 동맹 이뤄질까…삼성 '스타게이트' 합류 여부 주목
상태바
'中 견제' 한미일 AI 동맹 이뤄질까…삼성 '스타게이트' 합류 여부 주목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왼쪽부터)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왼쪽),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운데),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오른쪽).

컨슈머타임스=곽민구 기자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방한한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와 손정의 소프트뱅크그룹 회장이 만나 스타게이트 프로젝트에 대해 논의했다. 삼성이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며, 직접적인 참여가 아니더라도 투자는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근 딥시크를 앞세워 중국이 AI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만큼 이를 견제할 한국·미국·일본의 AI 동맹에 시선이 쏠린다.

이재용 회장은 지난 4일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올트먼 CEO, 손 회장과 3자 회동을 진행했다.

이 자리는 올트먼 CEO의 방한 일정에 맞춰 이뤄졌으며, 손정의 회장도 이번 만남을 위해 4일 오전 김포공항을 통해 입국했다. 이들은 약 2시간에 걸쳐 포괄적인 AI 분야 협력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회동은 오픈AI와 소프트뱅크가 오라클과 함께 추진하는 AI 인프라 프로젝트 '스타게이트' 협력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는 후문이다.

손정의 회장은 회동 이후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취재진과 만나 "삼성과 AI 전략에 대해 좋은 논의를 했다"라며 "아직 세부 사항을 정하진 않았고 지속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초대형 AI 동맹에 삼성이 합류해 한국·미국·일본 동맹이 형성될지 이목이 쏠렸다.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임기 동안 주요 사업으로 추진할 민간 협력 사업이다.

오픈AI와 소프트뱅크는 지난달 21일 오라클과 함께 AI 합작사 스타게이트를 만들고 향후 4년간 5000억 달러(약 718조 원) 이상을 투자해 미국에 AI 데이터센터 등을 구축하는 스타게이트 계획을 발표했다.

최근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개발한 거대 언어 모델(LLM) 'V3' 기반의 추론 특화 모델 'R1'이 등장하면서 글로벌 IT 업계가 큰 충격에 빠졌다. 미국 빅테크 수장들은 중국의 개발력을 인정하면서도 이들의 성장세에 긴장하는 모습을 보였다.

해당 프로젝트는 트럼프 대통령이 주요 사업 중 하나로 내세우는 만큼 중국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 견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미중 패권 경쟁이 AI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사진=곽민구 기자
사진=곽민구 기자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삼성전자에게도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해당 프로젝트 규모가 큰 만큼 여전히 투자금 확보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있다. 올트먼 CEO가 프로젝트에 합류할 기업을 찾고 있는 이유 중 하나다.

올트먼 CEO는 회동에 앞서 서울 더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스타게이트는 공급망에 많은 기업이 참여해야 가능한 프로젝트"라며 "스타게이트 생태계에 기여할 수 있는 한국 기업이 많다고 본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2016년 11월 하만 인수 이후 미래 동력 확보를 위해 꾸준히 M&A 대상을 물색해왔다. 그만큼 자금에 있어서는 충분한 여력이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또 오픈AI가 추진하는 자체 AI 반도체 확보와 관련해 협업 가능성도 있는 등 AI 반도체 수요가 늘어나면서 직접적인 판매량 증가도 예상된다.

AI 데이터센터에 필요한 HBM, 반도체, 기업용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eSSD) 등 관련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기술력을 갖춘 만큼 합류 시 끌어낼 수 있는 성과가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업계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나선 만큼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것도 있을 것"이라며 "한미일 3국을 중심으로 많은 기업이 참가하면 중국을 향한 압박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