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공단, 중고령자가 생각하는 '예상 은퇴 시점'은 67.0세
상태바
국민연금공단, 중고령자가 생각하는 '예상 은퇴 시점'은 67.0세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23년 제10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결과
중고령자가 생각하는 예상 은퇴 시점은 67.0세, 노후시작 연령은 69.0세

컨슈머타임스=안우진 기자 |  국민연금공단(이사장 김태현) 국민연금연구원은 2023년 실시한 제10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2005년부터 실시한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승인번호 제322001호)는 50대 이상 가구원이 있는 가구를 대상으로 △소득 △소비 △자산 등과 중고령자의 △노후준비상태 △은퇴계획 △경제활동참여상태 △공적연금제도 수급실태 등을 조사한다.

제10차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는 전국 50세 이상 가구원이 있는 1,439가구와 그에 속한 50대 이상 가구원 및 그 배우자 2,548명을 신규 패널로 추가해 총 5,331가구, 8,736명을 대상으로 수행됐다.

중고령자 고용률은 2021년 조사 결과(49.9%) 대비 크게 증가한 60.7%로 조사돼 활성화된 중고령자의 경제활동참여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취업상태에 있는 50대 이상 중고령자와 그 배우자를 대상으로 예상 은퇴 시점을 조사한 결과 평균 67.0세로 조사됐다.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노후시작 연령을 조사한 결과, 평균 69.0세를 노후가 시작되는 시기로 인식하고 있었다.

노후시작 사건으로는 △기력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시기(56.4%) △근로 활동을 중단하는 시기(23.8%) △공적연금이 지급되는 시기(12.1%) 순으로 조사됐다.

50대 이상 중고령자와 그 배우자를 대상으로 주관적인 노후필요생활비*(개인 기준)를 조사한 결과, 최소생활비는 136.1만원, 적정생활비는 192.1만원으로 조사됐다.

직전 조사(2021년) 대비 각각 9.5%, 8.4% 상승했으나 물가상승률(2022년 5.1%, '23년 3.6%)을 고려하면 최소생활비와 적정생활비의 수준은 큰 변동 없이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상태 및 삶의 만족도는 5점 만점 기준으로 신체적 건강상태는 평균 3.38점, 정신적 건강상태는 평균 3.59점, 전반적인 건강상태는 평균 3.49점, 삶의 만족도는 3.51점으로 조사됐다.

이전 조사(2021년) 결과(신체적 건강상태 3.24점, 정신적 건강상태 3.52점, 전반적인 건강상태, 3.39점, 삶의 만족도 3.46점)보다 전반적으로 점수가 증가해 중고령자가 건강상태와 삶의 만족도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공단 한정림 국민연금연구원장은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는 우리나라의 노후소득보장제도 및 노후생활 전반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으며 소중한 연구자료로 활용되고 있다"며 "내년 5월 계획된 제10회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학술대회를 시작으로 다양한 연구성과를 보다 활발히 공유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