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김하은 기자 | IBK기업은행 노동조합이 오는 27일 총파업을 통해 모든 지점의 영업활동을 중단시키겠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노조는 정부와 은행이 차별임금·체불임금 등에 대한 요구사항을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추가적인 파업을 이어나가겠다는 계획이다.
전국금융노조 기업은행지부는 24일 오전 서울 중구 기업은행 본점 노조 사무실에서 총파업 관련 기자간담회 열고 오는 27일 총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김형선 기업은행지부 위원장은 "모든 점포가 마비되는 총파업이 될 것"이라며 "은행과 정부가 우리 공공노동자의 요구를 수용하지 않는다면 2, 3차 총파업을 통해 은행업무를 모두 마비되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노조는 이번 총파업에 팀장급 이상 직원을 제외한 노조 가입자 전원에 가까운 8000명가량이 참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기업은행 총직원 수는 약 1만3000명으로 추산된다.
총파업 요구사항으로 내건 것은 차별 임금과 체불임금 해결이다. 노조는 회사가 공공기관이라는 이유로 동일 노동을 하는 시중은행보다 임금이 30% 정도 적다는 점을 문제 삼았다.
아울러 정부의 총액인건비 제한으로 1인당 600만원 정도의 시간 외 근무 수당이 지급되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기업은행의 1인 평균 급여액은 8500만원으로 1억원을 넘어선 시중은행에 비해 적은 편이다.
시간 외 근무수당의 경우 총액인건비가 정해져 있어 휴가를 부여하는데, 실제 사용하지 못한 뿐아니라 초과 이익 배분이나 특별성과급 지급도 불가능한 구조라는 게 노조 측 주장이다.
앞서 노조는 △이익배분제 도입을 통한 특별성과급(기본급 250%·약 1400억원) 지급 △밀린 보상휴가 100% 현금 지급 △이익 배분 차원에서의 우리사주 금액 확대를 요구하며 교섭을 진행한 바 있다. 하지만 사측은 정부의 승인사항이라고 받아들이지 않으며 결렬됐다.
기업은행 노조 관계자는 "조합원의 압도적 참여, 양대노총 공공부문 공대위, 한국노총, 금융노조 등 연대체의 압도적 지지를 통해 총파업을 성공시키겠다"며 "노조의 요구안에 불응시 2·3차 총파업이 진행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