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김지훈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사태 이후 정부가 추진하던 각종 정책에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정책주가 큰 폭으로 하락하고 있다.
윤 대통령 탄핵 부결로 야당이 탄핵 소추를 계속 추진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정책주의 불확실성은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9일 12시 25분 기준 '대왕고래' 테마주'로 묶이는 포스코인터내셔널은 전 거래일보다 1350원(3.41%) 하락한 3만8150원에 거래 중이다.
같은 시간 디케이락(5.52%), 동양철관(5.45%), 화성밸브(4.43%), GS글로벌(3.12%), 한국가스공사(0.15%) 등 정부가 추진하던 동해 유전 개발 사업 관련주들이 일제히 떨어지고 있다.
이는 야당이 동해 심해 가스전 개발에 따른 내년 예산안을 전액 삭감해 단독 처리한 데 이어 비상계엄 여파가 지속하면서 사업 추진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진 상황이기 때문이다.
원전 수출 사업에도 빨간등이 들어왔다. 이날 한전기술(5.44%), 비에이치아이(4.90%), 두산에너빌리티(3.71%) 등도 하락했다.
정부는 체코 신규 원전 건설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는 등 원전 수출에 특히 신경 써왔는데 이번 사태로 리스크가 발생한 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기업 밸류업 정책도 마찬가지다. 이 정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금융지주들의 주가도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하나금융지주(6.09%), 우리금융지주(4.14%), KB금융(3.28%), 신한금융지주(0.97%) 등 떨어졌다.

윤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이후 정책주의 불확실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만큼 시장에선 이들 테마에 대한 주가 향방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계엄령 이후 연기금은 삼성전자, 카카오, 한화투자증권 등을 중심으로 6760억원 순매수하는 등 주가 방어에 나서고 있지만 외국인, 개인 자금 이탈이 지속되는 등 매도 우위는 연일 지속하고 있다.
이는 정책주뿐만 아니라 국내 증시에서 나타나고 있는 현상으로 이날 오전까지 상승 종목은 73개(신고가 5개)에 불과했지만 하락 종목의 경우 848개, 52주 신저가 종목은 311개에 달했다. 중소형주 투심이 더 취약한 상황인 만큼 코스닥은 더 심각하다.
증권가에선 당분간 정치 리스크에 따른 주가 하락은 막을 수 없겠지만 한국 증시의 복원력을 믿는 분위기다.
이웅찬 iM증권 연구원은 "현 정권 정책 수혜주는 이미 조정이 시작됐고 특히 은행은 배당수익률만으로는 설명이 어려운 주가 레벨까지 올라갔음에도 정책 기대감이 주가를 뒷받침하던 터라 다소의 조정은 불가피하다"라면서 "원전, 방산 등도 수출계약 지연 등 다소의 차질은 있겠으나 펀더멘털 자체는 우호적인 상황이라 소폭의 조정에 그칠 것으로 전망한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해 하반기 한국 증시가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생각했고 내년의 상황도 녹록지 않다고 보고 있었다"라면서도 "정치는 애초에 교착상태에 빠져있었고 이번 계엄령 사태를 한국이 자체적으로 해결하고 있어 한국 민주주의 복원력에 놀랐다는 외신의 시각도 존재하는 만큼 복원력이 입증된다면 박스권 하단은 지켜낼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