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억 vs 3천만' 상·하위 집값 40배 격차…자산양극화 여전
상태바
'13억 vs 3천만' 상·하위 집값 40배 격차…자산양극화 여전
  • 인터넷팀 admin@cstimes.com
  • 기사출고 2024년 11월 18일 13시 23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상위 10% 가구, 주택 2.37채 소유…하위 10%는 1채도 안 돼
서울 시내 아파트

가구가 소유한 집값의 격차가 최대 40배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싼 집을 가진 가구는 소유한 주택 수도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나 대한민국 사회의 자산 불평등을 보여주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통계청은 18일 이런 내용을 담은 '행정자료를 활용한 2023년 주택소유 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통계는 건축물대장, 주택공시 가격, 재산세 자료 등 주택 관련 행정자료와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활용해 작성됐다.

상·하위 아파트값 격차 10배로…집값 양극화 가속 (CG)

◇ 작년 72만명 집 구매…1인가구·한부모가구 주택 소유율 낮아

지난해 주택을 소유한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공시가격 기준)은 3억 2천100만원으로 전년(3억1천500만원)보다 상승했다.

가구당 평균 소유 주택 수는 1.35채, 평균 면적은 86.6㎡였다. 주택을 소유한 평균 가구주 연령은 57.3세, 평균 가구원 수는 2.55명이었다.

자산가액 기준 상위 10% 가구의 평균 주택 가액은 12억5천500만원으로 하위 10% 평균 주택 자산 가액(3천100만원)의 40.5배 수준이었다.

상위 10% 가구의 평균 주택 자산가액은 전년(12억1천600만원)보다 약 4천만원, 하위 10%는 전년(3천만원)보다 100만원 증가했다.

상위 10% 가구의 평균 소유주택 수는 2.37채로 하위 10%(0.98채)보다 약 2.4배 많았다.

비싼 집을 가진 가구일수록 소유 주택 수도 더 많은 셈이다. 한국 사회의 자산 양극화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가구가 소유한 주택은 1천675만9천채로 전년(1천644만8천채)보다 31만2천채 늘었다.

가구의 주택 소유율은 56.4%였다.

주택 소유율은 상대적으로 1인가구(31.3%), 비친족가구(42.3%), 한부모·미혼자녀 가구(53.9%) 등이 평균 보다 낮게 나타났다.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