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금리인하, 실수요자 내집마련 '적기'
상태바
주담대 금리인하, 실수요자 내집마련 '적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DL이앤씨]
[DL이앤씨]

컨슈머타임스=김동현 기자 | 주택 담보대출금리가 낮아지는 등 금융 부담이 줄어들면서 실수요자들로 하여금 내집마련의 적기라는 관측이 나온다.

6일 한국은행의 '2024년 5월 금융기관 가중평균금리' 자료를 보면 예금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3.91%로 한 달 전보다 0.02%p 떨어졌으며 2022년 5월 3.90% 이후로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주택금융 상환 부담 수준도 낮아지고 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국 주택구입부담지수(K-HAI)는 62.8로 전 분기(2023년 64.6)보다 1.8p 낮아졌다. 주택구입부담지수는 지수가 낮아질수록 주택구입부담이 완화됨을 의미하는 지수다.

업계에서는 그동안 금리 부담으로 주택 분양 또는 매입을 미뤄왔던 수요자들이 다시 부동산 시장에 몰려들 것으로 보고 있다.

부동산R114의 '2024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 설문조사에 따르면 10명 중 3명 이상(3.6명)이 하반기 주택 매매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직전 조사(상반기, 상승 30%, 하락 25%)에서는 상승 응답이 하락 응답을 2년 만에 역전했는데, 금번(상승 36%, 하락 21%) 설문에서는 상승과 하락 격차가 더욱 벌어졌다. 

매매 거래량도 회복세다. 한국부동산원 통계 자료를 보면 올해 6월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총 4만3,300건으로 전년동월(3만9,622건) 대비 9.28% 증가했다. 특히 같은 기간 서울의 경우 무려 48.69%(4,136건→6,150건)나 늘어났다.

청약시장도 활기를 띠는 모양새다. 올해 7월 전국 1순위 평균 경쟁률은 51.93대 1로 전년동월 9.35대 1보다 5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업계 전문가는 "금리 인하를 체감할 수 있는 경제적 환경이 조성되고 있어 수요자들이 분양 및 매매 시장으로 몰리고 있는 상황이다"라며 "오래 지속되던 기준금리 동결이 끝나고 인하가 시작되면 집값이 오를 것으로 보이는 만큼 이전에 내 집 마련에 나서려는 움직임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가운데, 신규 분양 단지가 눈길을 끈다. DL이앤씨는 9월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일원 대명2동 명덕지구 주택재개발정비사업을 통해 'e편한세상 명덕역 퍼스트마크'를 분양할 예정이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35층, 17개 동, 전용면적 39~110㎡ 총 1,758가구의 대단지로 조성되며, 이중 전용면적 59~84㎡ 1,112가구를 일반 분양으로 공급한다.

대우건설은 서울특별시 성북구 장위동 일원 장위 6구역에 '푸르지오 라디우스 파크'를 분양 중이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33층, 15개동 총 1,637가구 규모로 이중 전용면적 59~84㎡ 718가구가 일반분양으로 공급된다. 평균 분양가는 3.3㎡당 3,507만원으로 합리적이다. 

롯데건설은 경기도 광명시 광명5동 일원에서 광명 9R구역 주택재개발을 통해 '광명 롯데캐슬 시그니처'를 분양 중이다. 단지는 총 1,509가구 규모로, 이 중 전용면적 39~59㎡, 총 533가구를 일반분양한다. 현재 일부 타입은 계약이 마감됐으며, 계약 조건은 1차 계약금 1,000만원 정액제를 제공하고, 전용면적 39·49㎡ 타입의 경우 중도금 전액 무이자 혜택이 적용된다. 

현대건설은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안2-2지구에 '힐스테이트 도안리버파크'를 분양 중이다. 단지는 총 5개 단지, 지하 2층~지상 최고 35층, 총 51개 동, 5,329가구 규모이며, 1단지(1,124가구)와 2단지(1,437가구) 2,561가구가 1차로 공급된다. 이중 임대를 제외하고 1단지(891가구), 2단지(1,222가구) 2,113가구를 일반분양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