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대 임상병리학과, '직무기반 임상병리사 국가시험 개선방안 연구' 공청회
상태바
경복대 임상병리학과, '직무기반 임상병리사 국가시험 개선방안 연구' 공청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복대학교 임상병리학과 공청회 현장(사진제공=경복대학교)
경복대학교 임상병리학과 공청회 현장(사진제공=경복대학교)

컨슈머타임스=안우진 기자 | 경복대학교 임상병리학과(학과장 김대은)가 2023년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위탁받은 '직무기반 임상병리사 국가시험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에 대해 임상병리사와 관계된 각계각층의 의견을 청취 및 수렴하기 위해 지난 11일 경복대학교 서울산학협력거점센터 세미나실에서 공청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청회에는 우원식 국회의원의 축전과 함께 한국임상병리학과 교수협의회 육근돌 회장, 임상유전검사학회 이건동 회장, 임상핵의학검사학회 박준모 회장, 고려대학교 대학원 임상병리정책연구포럼 이민우 대표회장, 대한임상병리사협회 기획정책 박희열 이사, 연구진 등 60명의 대학 교수 및 임상병리사들이 모여 열띤 토론의 시간을 보냈다.

2023년 10월부터 2024년 8월까지 약 10개월간 진행되는 해당 연구는 임상병리사의 직무 변화를 분석한 자료를 기반으로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문제해결 능력을 효과적으로 평가하고 직무 타당도가 높은 국가시험 문항을 출제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김대은(경복대학교 임상병리학과 교수) 책임연구원은 "본 연구는 직무 중심의 우수한 인력을 배출할 수 있는 적절한 평가 기준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임상병리사 국가시험과 관련된 임상, 대학, 협회가 유기적으로 협조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본 공청회에 참석한 육근돌 협의회장(한국 임상병리학과 교수협의회)은 "과거의 암기식 국가시험에서 벗어난 직무 기반 실무중심의 평가시스템, 임상 현장에서의 실무중심의 재교육 등 우수한 임상병리사를 배출하고 양성하는 정책을 도출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한다"며 "이번 연구과제가 그 초석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