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억만장자 자산, 물가상승률 3배 속도로 증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후 약 3년간 세계 5대 부자의 자산이 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같은 기간 전 세계의 약 50억 명은 더 가난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구호개발기구 옥스팜(Oxfam)은 15일 세계경제포럼(WEF) 연례회의 '다보스포럼'의 개막에 맞춰 발표한 '불평등 주식회사' 보고서에서 "2020년 이후 발생한 극심한 부의 증가가 이제 굳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불과 3년 만에 우리는 전 세계적인 팬데믹, 전쟁, 생계비 위기, 기후 붕괴를 모두 겪고 있다"며 이로써 부유층과 빈곤층, 소수와 다수의 격차가 더욱 커지는 '분열의 10년'이 시작됐다고 진단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자산 상위 5명의 자산은 2020년 4천50억 달러(약 532조6천억 원)에서 2023년 11월 8천690억 달러(약 1천142조7천억 원)로 곱절로 늘었다.
이는 이들의 자산이 시간당 1천400만 달러(약 184억1천만 원)씩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전체 억만장자들의 자산은 34% 증가해 3조3천억 달러(약 4천339조5천억 원)에 달했다. 이는 물가 상승률보다 3배 빠른 속도다.
이런 추세대로라면 앞으로 10년 안에 세계에서 첫 조만장자가 탄생하고, 빈곤은 230년간 근절되지 않을 것이라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또한 상위 1% 부자들이 전 세계 금융자산의 43%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옥스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하지만 보고서는 이같이 창출된 부의 배분이 불평등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2022년 7월~2023년 6월, 96개 대기업이 벌어들인 수익의 82%가 '슈퍼리치' 대주주들에게 배분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세계 1천600개 대기업 중 0.4%만이 노동자와 그 가족들이 보다 인간다운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최저임금 이상의 소득 수준을 보장하는 '생활임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세계 인구의 21%를 차지하는 북반구 국가들에 전 세계 개인 자산의 69%, 억만장자의 자산 74%가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저소득 및 중하위 소득 국가들은 2029년까지 매일 약 5억 달러(약 6천575억 원) 규모의 이자 및 부채 상환금을 변제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이와 함께 세계 노동자 7억9천100만 명이 물가 상승률에 못 미치는 임금 상승으로 인해 지난 2년간 1조 5천억 달러(약 1천972조5천억 원)의 손실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