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 신상엽 연구위원, "럼피스킨병 유행은 폭스바이러스의 경고 메시지"
상태바
KMI 신상엽 연구위원, "럼피스킨병 유행은 폭스바이러스의 경고 메시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김동역 기자 | KMI한국의학연구소 연구위원회의 신상엽 수석상임연구위원이 '럼피스킨병 인체 감염 가능성과 유행 대응법'을 담은 건강정보를 24일 내놓았다.

최근 국내 축산농장에서 소 바이러스성 질병인 '럼피스킨병' 감염 사례가 처음으로 확인돼 유행 확산과 인체 감염 가능성 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 적절한 대응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신상엽 수석상임연구위원(감염내과 전문의)은 "다행히도 럼피스킨병은 '인수공통감염병'이 아니라 '가축감염병'으로 이 병에 걸린 가축의 고기나 우유를 섭취해도 사람은 감염되지 않으며 향후 사람에게 럼피스킨병이 발생할 가능성은 DNA 바이러스의 특성상 매우 낮다"며 "소 럼피스킨병 유행의 전세계 확대는 인류에 대한 폭스바이러스의 경고 메시지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럼피스킨병의 주된 감염 경로는 주로 흡혈곤충(모기, 진드기, 파리)에 의해 이루어지며 곤충은 감염되지 않고 운반체 역할만 한다. 감염된 동물과 직접 접촉, 바이러스에 오염된 사료나 주사기 등에 의해서도 전파가 가능하다.

사람은 럼피스킨병에 걸리지 않는다. 하지만 직접 또는 운송 수단을 통해 다른 지역 동물에게 간접전파 시킬 수 있으며 유행 시 경제적 영향도 크게 받는다.

신 연구위원은 "럼피스킨병은 약독화 생백신이 개발돼 있고 국내에 백신이 구비돼 있다"며 "생백신이라 접종 후 관리가 까다로워 럼피스킨병의 국내 유입 전 사전 예방 접종은 할 수 없었지만 유입 이후에 유행 차단 방지를 위한 백신 접종은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어 "럼피스킨병 통제를 위해 당장의 우선순위는 백신 접종 및 사회적 거리두기(조기 진단 및 조기 매몰처분)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