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 국방과학연구소와 '초소형위성체계개발 사업' 계약 체결
상태바
한화시스템, 국방과학연구소와 '초소형위성체계개발 사업' 계약 체결
  • 박준응 기자 pje@cstimes.com
  • 기사출고 2023년 05월 18일 10시 00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화시스템이 개발 중인 초소형 SAR위성
한화시스템이 개발 중인 초소형 SAR위성

컨슈머타임스=박준응 기자 |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이 지난 17일 국방과학연구소와 679억원 규모의 '초소형위성체계개발사업' SAR 검증위성 1기 개발 계약을 체결했다.

체계개발 소요결정 절차에 의해 중기소요로 결정된 무기체계의 설계·시제품 제작·시험평가를 통해 양산가능한 무기체계로 개발하는 단계를 뜻한다. 이번 초소형위성체계개발사업은 SAR검증위성을 개발하고 입증한 후, 양산을 통해 SAR 군집위성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실제 '우주궤도 시험'을 실시해 한반도 전역과 주변 해역의 준(準)실시간 감시·관측을 위한 소형·경량·고성능 SAR 군집위성을 개발해 내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하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이를 통해 SAR 군집위성 개발이 완료되면 한반도 위기징후와 재난위협을 빈틈없이 탐지하는 '우주의 눈'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화시스템은 이번 사업을 통해 2027년 6월까지 △각 위성 구성품의 기능을 검증하는 EM(Engineering Model) △각 위성 구성품의 발사환경 및 우주환경 인증을 위한 QM(Qualification Model) △각 구성품 간 연동 시 기능 검증을 위한 ETB(Electrical Test Bed) △위성체 구조물 내에서 각 구성품 기능 검증을 위한 STM(Structural Thermal Model) △실제 우주로 발사할 초소형 SAR위성의 FM(Flight Model)을 개발한다.

한화시스템은 전자광학(EO)·적외선(IR) 및 고성능영상레이다(SAR) 탑재체 기술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국내 유일의 기업이다. 현재 군사용 정찰위성의 핵심기술로 꼽히는 'SAR센서'와 '데이터링크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한화시스템이 개발한 초소형 SAR위성은 일반 위성과 달리 탑재체와 본체가 얇은 직육면체 형태로 설계돼 있다. 한화시스템은 이 같은 설계를 통해 무게를 절감하고, 하나의 발사체에 최대한 많은 위성을 실을 수 있어 발사 비용도 절감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다수 모듈로 구성된 전장품을 하나의 모듈로 기능을 통합해 경량화·소형화를 달성하는 효과를 거뒀다. SAR의 핵심인 안테나는 국내 최초의 한국형 전투기 KF-21 의 AESA레이다 개발을 통해 검증된 반도체 송수신 장치를 활용해 초경량 고효율 능동위상배열안테나를 적용했고, 고해상도 관측 모드와 넓은 영상 획득이 가능한 광역 관측 모드를 제공할 예정이다.

김정호 한화시스템 항공·우주부문 사업대표는 "민간 우주시대가 본격화됨에 따라 초소형 SAR위성은 안보 자산으로써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며 "보유한 기술 역량과 경험을 바탕으로 SAR검증위성 개발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