틈새시장 '가로주택'도 대형건설사 새 먹거리 부상
상태바
틈새시장 '가로주택'도 대형건설사 새 먹거리 부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장용준 기자] 그간 중견건설사들의 텃밭이라 불렸던 가로주택 정비사업도 대형건설사들의 새먹거리로 부상하고 있다. 가로주택 정비사업은 상대적으로 다른 정비사업에 비해 규모가 작은 편이지만 서울시가 모아주택으로 규제를 완화해 활성화 의지를 밝히는 등 이전보다 일거리가 확대되고 있어서다.

서울시는 올해 1월 '모아타운‧모아주택' 도입계획을 발표한 이후 지난 8월까지 가로주택정비사업 조합설립 인가를 받은 사업지는 총 42개소로 전년 같은 기간(26개소)보다 약 61% 늘었다고 밝혔다. 공급세대수(계획)를 기준으로 하면 3591가구에서 6694가구로 86% 증가한 수치다.

서울시 측은 이같이 가로주택 정비사업지가 많이 늘어난 건 시가 올해 초 도입한 모아타운·주택의 역할이 컸던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모아주택'은 서울시의 소규모주택정비사업 브랜드다. 지역 내 이웃한 다가구‧다세대주택 필지 소유자들이 소규모 개별 필지를 모아서 지하주차장을 건립 가능한 규모(1500㎡ 이상)로 아파트를 공동 개발할 수 있도록 각종 완화혜택을 부여하는 것이다.

아울러 '모아타운'은 개별 모아주택 사업의 활성화와 계획적 정비를 도모하고 부족한 주차장 등 기반시설을 확보할 수 있도록 10만㎡ 미만의 단위로 관리계획을 수립하는 지역이다. '빈집 및 소규모주택정비에 관한 특례법' 상 '소규모주택정비관리지역'을 활용해 추진된다.

모아타운 내에서 가로주택정비 방식으로 모아주택을 추진하는 경우 가로주택정비의 가로구역 요건 완화와 사업면적 확대(1만㎡ 이내 → 2만㎡ 이내), 용도지역 상향(1종→2종, 2종→3종), 기반시설 및 공동이용시설 조성시 법적상한용적률 초과 용적률 완화 등을 적용받아 사업이 더욱 탄력을 받을 수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모아타운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모아타운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최근엔 정부도 주택공급을 확대를 위해 가로주택 정비사업을 추진할 때 민간자금 융자 시 주택도시기금과의 금리 차 일부를 보전해주기로 하면서 시장이 더 커지고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에 그간 중견건설사들의 텃밭으로 불렸던 가로주택 정비사업 수주에 자사 브랜드 파워를 내세운 대형 건설사들의 참여가 증가 추세다.

지난해 4월 인천 용현3 가로주택정비사업을 수주하며 가로주택정비사업 진출을 선언한 DL이앤씨는 올 들어서도 활발한 수주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15일 경기 성남시 양지동379·427번지 일대의 가로주택정비사업 조합의 시공사 입찰에 단독 응찰해 수의계약 가능성이 높아졌다.

성남시 양지동 379번지 일대는 구역면적이 9602.7㎡으로 최고 15층 높이의 아파트 250가구와 부대복리시설 등을 지을 계획이다. 양지동 427번지 일대도 9494.2㎡의 구역면적으로 정비사업을 통해 15층 높이의 아파트 250가구가 만들어진다. DL이앤씨가 수주에 성공하면 500가구의 통합 브랜드 타운을 조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쏠린다.

지난 8월에는 현대건설이 서울 서초구 방배삼호아파트 12·13동 가로주택 정비사업을 수주했다. 지하 4층~지상 35층, 1개 동, 120가구 규모로 지어자는 이곳에 자사의 하이엔드 브랜드인 '디에이치'를 적용하면서 사업성을 인정했다는 점도 이채롭다.

SK에코플랜트도 같은달 부산 초량1구역 가로주택 정비사업 시공사 선정 총회에서 시공권을 획득했는데 도급액이 1623억원에 이르는 알짜 사업이라는 평가다.

이보다 앞서 대우건설도 서울 지역에서 활발한 수주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 7월 551억원 규모의 서울 도봉구 창동1구역 가로주택 정비사업 시공권을 따냈고, 창동2~10구역 가로주택 정비사업을 추가로 수주하면서 푸르지오 타운 형성까지도 바라보고 있다.

대규모 철거에 대한 부담이 없고 정비구역지정과 추진위원회 구성 등의 절차가 생략돼 사업 기간 자체가 대형 정비사업이 10년이 걸린다면 가로주택은 3~4년이면 완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대형건설사들의 시장 참여를 이끌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대형건설사 관계자는 "가로주택정비사업은 일반적인 재개발, 재건축보다 절차가 간소하고 기간도 짧아 일감이 필요한 지금 같은 시기에 수주에 뛰어들 만한 프로젝트"라면서 "예전과 달리 대형 건설사간 경쟁도 치열해지는 형세"라고 말했다.

반면 가로주택사업을 비롯한 소규모 정비사업을 먹거리로 삼았던 중견 건설사들은 경쟁력이 뒤처져 상대적으로 열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한 중견 건설업체 관계자는 "올 들어 전국적으로 140여개 정도의 소규모 정비사업들이 추진되고 있는데 조금이라도 사업성이 있다고 하면 굵직한 대형건설사들에 수주가 돌아갈 분위기"라며 "중견건설사 입장에서는 아무리 의욕이 있다 해도 규모나 브랜드파워에서 조합의 마음을 사로잡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하소연했다.

건설 및 부동산 전문가들은 가로주택정비사업으로 공급되는 아파트가 부동산 수요가 몰리는 위치에 신축이라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미 인프라가 풍부한 구도심에 지어져 있는 소규모 아파트의 사업성이 뛰어나 대형건설사들로서는 손해 없는 장사라는 것이다. 아울러 정부의 재건축 빗장이 풀리기까지는 시간이 걸리다 가로주택 방식을 도입하는 사업지도 점차 확대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