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슈머타임스 장용준 기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사태 장기화로 두 달째 기업경기 전망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노력을 필요하다는 주장도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5월 BSI 전망치가 97.2를 기록했다. 이는 이달 99.1보다 1.9포인트 하락한 것이다.
BSI가 기준치인 100보다 높으면 경기 전망에 대한 긍정 응답이 부정 응답보다 많고, 100보다 낮으면 부정 응답이 더 많은 것을 뜻한다.
BSI는 지난달에 이어 2개월 연속 100을 넘지 못했다.
전경련 측은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인한 국내 및 세계 경제 위축이 경기 전망 부진의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업종별 BSI는 제조업과 비제조업의 경기전망이 2개월 연속 양극화 현상을 보였다. 5월 제조업 전망치는 93.1으로 4월(94.8)에 이어 지속 부진한 반면, 5월 비제조업 전망치는 102.0으로 4월(104.6)처럼 낙관적이었다.
전경련 측은 "비제조업이 호조세를 보이는 것은 정부의 위드코로나 조치 강화에 따른 대면 서비스 활성화에 주로 기인했다"고 진단했다.
제조업 전망(93.1)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원자재·에너지가격 고공행진, 중국 상하이 봉쇄로 인한 공급망 차질 등의 영향으로 2020년 10월(83.4) 이후 19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전경련 측은 제조업 중 자동차‧운송장비업, 비금속 소재‧제품업 등의 전망이 가장 부진한 이유로 "철광석, 유연탄 등 핵심 원재료 가격의 고공행진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 물류 중심지인 상해 봉쇄 장기화에 따른 대(對)중국 중간재 수입 차질 우려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부문별 BSI를 살펴보면, 내수(104.3), 투자(104.0), 고용(105.9)은 긍정적 전망을 보인 반면, 채산성(96.3), 자금사정(96.6), 수출(99.4), 재고(100.9)는주6) 부정적 전망을 나타냈다.
전경련은 채산성이 부진한 주요 원인으로 원자재발 생산원가 상승 및 항만 적체로 인한 물류비 상승을 꼽았다. 자금사정 악화 요인으로는 생산원가 상승뿐만 아니라 기준금리 인상으로 인한 이자부담과 채권금리 상승에 따른 자금조달 어려움을 지적했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우리나라는 소규모 개방경제 국가로 기업들이 국제 원자재가격 변동, 글로벌 공급망 교란에 특히 취약한 구조"라면서 "주요 수입 원자재에 대한 수입관세 인하, 세부담 완화 등을 통해 기업 채산성 악화를 최소화하고 공급망 안정화에 힘써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