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국내 제약사 "국산 mRNA 코로나백신 내년 개발·양산"
상태바
정부·국내 제약사 "국산 mRNA 코로나백신 내년 개발·양산"
  • 인터넷팀 admin@cstimes.com
  • 기사출고 2021년 06월 29일 14시 03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백신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 출범한 민·관 협동 컨소시엄이 내년까지 화이자·모더나 백신 대비 동등 이상의 효과를 내는 국산 백신을 개발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보건복지부와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29일 오전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한미약품·에스티팜·GC녹십자 3개 주축 기업 및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이하 KIMCo) 등과 '차세대 mRNA 백신 플랫폼 기술 컨소시엄(이하 K-mRNA 컨소시엄) 출범식을 열었다.

K-mRNA 컨소시엄은 국내 제약 기업들이 협업해 mRNA 코로나19 백신 플랫폼 기술을 확보하고 대량 생산 체계를 갖춰 백신 자급화와 수출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취지에서 구성됐다. 업계는 mRNA 플랫폼이 바이러스 벡터(전달체)·재조합 백신 플랫폼보다 개발 속도전에서 유리하고 생산설비 구축에 드는 비용이 저렴하다고 설명했다.

K-mRNA 컨소시엄은 내년까지 국산 mRNA 기술을 확보해 전 국민이 1인당 2회 접종 가능한 1억 도스 분량의 코로나19 백신을 생산할 계획이다. 비임상 단계의 후보물질을 임상 단계로 진입시켜 국산 백신 개발을 가속할 방침이다.

출범식에 참여한 권세창 한미약품 사장은 "모더나나 화이자 백신과 동등 이상 수준의 예방효과를 노리겠다"며 "변이 바이러스까지 극복할 수 있는 넥스트 제너레이션(차세대) 백신을 너무 늦지 않게 개발하겠다"고 부연했다.

허은철 GC녹십자 사장은 "이미 mRNA 코로나19 백신이 개발되고 있지만, 이 컨소시엄은 백신 개발만이 목표가 아니라 mRNA 플랫폼 확보를 중요하게 보고 있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K-mRNA 컨소시엄에 참여하는 한미약품, 에스티팜, GC녹십자는 임상과 핵심 원료, 대량생산설비 구축 등에 7천억원 이상을 투자한다.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