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자 재산 68% ↑…1위는 전혜경 국립식량과학원장
상태바
공직자 재산 68% ↑…1위는 전혜경 국립식량과학원장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인터넷뉴스팀] 지난해 부동산 가격 상승과 주식시장 활황 등 영향으로 행정부와 지방자치단체 고위 공직자 10명 중 7명의 재산이 늘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25일 공개한 중앙부처 1급 이상과 지방자치단체장, 광역의원, 교육감 등 고위 공직자 1831명의 작년 말 기준 재산변동 신고 내역에 따르면 이들의 평균 재산액은 118000만원이다.

 

1년 전 혹은 6.2 지방선거 직후 등 종전 신고 때에 비해 재산이 늘어난 경우가 1239(67.7%)이고 평균 재산 증가액은 4000만원이다.

 

지난해 재산공개 때는 부동산 시장 침체 등 여파로 전년 보다 평균 1200만원 감소했었다.

 

윤리위는 올해 신고된 재산이 늘어난 주 요인은 부동산 가격과 주가의 동반 상승인 것으로 분석했다.

 

부동산 공시가격 상승으로 인한 평가액 증가분이 평균 1700만원이고 주식 투자 수익과 예금 등 순재산 증가분도 평균 2300만원에 달했다.

 

고위 공직자들의 본인 소유 평균 재산은 68300만원이며 배우자 재산이 38700만원, 직계 존·비속이 11000만원이다.

 

공개 대상자의 60.5%는 재산 규모가 10억원 미만이지만 50억원 이상도 2.7%에 달한다.

 

이명박 대통령은 논현동 주택 가격 상승 등으로 재산이 전년보다 41000만원 늘어나 55억원에 달했고 김황식 국무총리는 112000만원으로 3000만원 증가했다.

 

광역 시도단체장 중엔 오세훈 서울시장이 11천만원 늘어난 58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급여 저축 등으로 6000만원이 증가해 49000만원이다. 김두관 경남도지사는 4000만원이 늘었지만 여전히 12천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고위 공직자 중 재산이 가장 많이 늘어난 사람은 전혜경 국립식량과학원 원장으로 배우자의 주식 재산 증가 등으로 426000만원이 늘어나 3324000만원을 기록했다. 전 원장은 행정부내 재산 규모 1위를 기록했다.

 

재산이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사람은 백종헌 부산시의원으로 부모재산 고지를 거부하면서 1018000만원이 감소해 774000만원이 됐고, 최호정 서울시의원은 아버지인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의 재산을 빼면서 722000만원이 줄었다.

 

이밖에 재산이 줄어든 공직자들은 생활비와 자녀 학비 지출 등을 주요 감소 이유로 꼽았다.

 

윤리위는 이번에 공개한 공직자 재산변동사항을 6월 말까지 심사해서 허위 혹은 중대한 과실로 잘못 신고했거나 부당·위법한 방법으로 재산을 형성한 경우는 과태료 부과 등의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연합)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