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BIS 비율 악화…수출입은행 건전성 '비상'
상태바
은행권 BIS 비율 악화…수출입은행 건전성 '비상'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은행권 BIS 비율 악화…수출입은행 건전성 '비상'

[컨슈머타임스 윤광원 기자] 부실기업 구조조정과 원/달러 환율 상승 등의 영향으로 국내 은행들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건전성 지표들이 악화됐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국내 은행의 BIS 기준 총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 보통주자본비율은 각각 13.96%, 11.53%, 11.00%로 6월 말보다 각각 0.13%, 0.13%, 0.12% 포인트 하락했다.

총자본비율이 하락한 것은 3개월 전과 비교한 위험가중자산 증가율이 3.7%(51조3000억원)로 총자본 증가율(2.7%, 5조3000억원)을 상회했기 때문이다.

위험가중자산 증가는 원화대출금이 늘어나고 환율 상승으로 원화환산액이 늘어난 결과다.

9월 말 기준 은행별 BIS 총자본비율은 씨티(16.76%), 국민(16.14%)이 높았고 수출입(9.44%), 수협(12.01%), 기업(12.65%)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특히 수출입은행은 유일하게 10%를 밑돌아 자산건전성에 비상이 걸렸다. 올해 들어서만 1.06%포인트 급락했다.

경영실태평가 1등급(매우 양호) 기준(10% 이상)을 밑돌 정도로 수출입은행의 건전성이 급격히 악화된 것은 조선, 건설 등 주요 업종 기업에 대한 부실채권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 비율이 8%를 밑돌면 '적기시정조치'를 받게 된다.

한편 9월 말 은행지주회사의 BIS 기준 총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 보통주자본비율은 각각 13.66%, 11.35%, 10.70%로 6월 말보다 총자본비율은 0.02%포인트 상승했으나 기본자본비율과 보통주자본비율은 각각 0.01%포인트, 0.03%포인트 하락했다.

은행지주사별 총자본비율은 KB(15.72%), SC(14.32%)가 높고 BNK(11.59%), JB(11.95%)가 낮은 편이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