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솔지의 잇사이트] 알리, 이커머스 시장 '메기'서 '미꾸라지' 될라
상태바
[안솔지의 잇사이트] 알리, 이커머스 시장 '메기'서 '미꾸라지' 될라
  • 안솔지 기자 digeut@cstimes.com
  • 기사출고 2024년 03월 15일 17시 49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안솔지 기자 | 최근 이커머스업계를 달구고 있는 '뜨거운 감자'는 바로 '알리익스프레스(이하 알리)'다. 

2018년 국내에 첫 진출한 알리는 지난해 배우 마동석을 전속 모델로 발탁하고 '초저가' 전략을 앞세워 영향력 확대에 나서고 있다.

알리의 초저가 전략은 최근 지속되고 있는 경기 불황과 맞물려 폭발적인 추진력을 얻고 있다. 그동안 알음알음 아는 사람만 쓰는 플랫폼이었다면, 이제는 쿠팡의 뒤를 바짝 쫓으며 '국내 1위' 자리도 넘볼 만큼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알리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2021년 168만명에서 2024년 2월 818만명으로 무려 387%나 증가했다. 

알리는 연내 국내에 물류센터를 구축해 배송 기간 단축에 나선다. 물류센터가 완공되면 배송 기간을 현재 5~7일에서 1~2일까지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초저가 혜택에 배송 경쟁력까지 더해 국내 시장 점유율 확대에 박차를 더하겠다는 전략이다.

지갑 사정이 여의치 않은 소비자 입장에서는 '싸면 장땡'이기에 아쉬울 것 없는 상황이다. 국내 플랫폼에서는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저렴한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으니 알리를 안 쓰면 '바보'가 되는 셈이다. 설령 품질이 떨어지더라도 몇 번 쓰다가 버리면 그 뿐이다.

하지만 당장의 편의성에만 초점을 맞춰서는 안 된다. 

알리는 국내 진출 후 소비자에 대한 '존중' 보다는 '시장 잠식'을 위한 속도전에만 집중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알리발 소비자 피해는 지속 늘고 있다. 지난해 한국소비자연맹에 접수된 관련 사례는 465건으로 전년(93건) 대비 5배 늘었다. 특히 '짝퉁' 판매 문제는 꼬리표처럼 따라 붙고 있고, 개인정보 유출 문제도 지적됐다. 지난해에는 이러한 논란으로 국정감사에 불려가기도 했다. 

논란을 의식한 것인지 최근 들어 가품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전화상담 개시, 반품 및 환불 정책 도입 등 소비자 보호 서비스를 잇따라 내놓고 있지만,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 지는 미지수다. 2018년 진출 이후 아무런 움직임이 없다가 이제서야 부랴부랴 대책을 내놓고 있다는 비판도 피할 수 없다. 

국내 셀러들을 유인하기 위해 제공하던 '입점·판매 수수료 0%' 정책을 중단하고, 4월부터 수수료를 부과할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온다. 수수료 0% 정책을 믿고 입점을 결정한 업체들에게는 청천벽력과 같다.

해당 정책을 도입한 지 겨우 한 달 새 입장을 뒤집어버리는 것은 판매자와의 '신뢰'는 무시하고 '수익창출'을 우선시 하겠다는 것과 다름 없다. 

이에 대해 알리 측은 "내부 논의 중이지만 정해진 것은 없다"는 짤막한 답을 내놓았다. 사실상 수수료 0% 정책은 폐기 수순에 있다는 것을 확인해 준 셈이다.

게다가 알리는 여러 논란을 정면 돌파하기보다 '회피'하는 방식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당초 지난 12일 기자간담회를 열 예정이었으나, 하루 전인 11일 행사를 돌연 취소했다. 이에 대한 배경 설명 도 없었다. '부득이한 사정으로 취소한다'며 짤막한 공식입장만 남긴 상태다. 간담회 재개 시점도 미정이다.

통상 간담회를 앞두고 하루 전날 취소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부득이한 사정'에 대한 설명도 없어 취소 배경을 두고 의혹만 커져가고 있다. 

이커머스 시장의 '메기'가 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그저 물만 흐리는 '미꾸라지' 같은 행보에 아쉬움만 남는다.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들의 막무가내식 운영에 정부 역시 '해외 온라인 플랫폼 관련 소비자 보호 대책'을 마련하고 범정부 차원의 대응에 나선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해외직구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며 자유롭게 활동했던 알리의 행보에도 제동이 걸리게 될 것으로 보인다.

알리가 다시금 '메기'의 위용을 갖추기 위해선 근본적인 대책 마련을 통한 '신뢰 회복'이 우선이다. '알리' 하면 떠오르는 가품 문제와 중국산 저품질 이미지 극복을 위한 노력은 필수다. 플랫폼이 진출한 시장과 이용자, 판매자 모두에 대한 존중 없이 '롱런'은 없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