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호의 IT밸리] 누누티비 근절 위해선 이용자 인식 제고 절실
상태바
[김윤호의 IT밸리] 누누티비 근절 위해선 이용자 인식 제고 절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김윤호 기자 | 최근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 '누누티비'를 내달 재개한다는 이가 나타나면서다. 사실 여부는 확인할 수 없지만, 누누티비 등장 가능성만으로도 업계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

누누티비는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등 OTT 오리지널 콘텐츠 및 최신 영화 등을 불법 스트리밍해 논란이 됐다. 정부의 차단 조치 등으로 지난 4월 자체 폐쇄했지만, 이 후에도 티비위키, 티비몬, 티비핫 등 소위 '짝퉁 누누티비'라고 불리는 유사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가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다.

현재(20일 기준) 티비몬에서는 최근 개봉한 톰 크루즈 주연 '미션 임파서블' 신작뿐만 아니라 개봉한지 갓 한 달을 넘긴 영화 '귀공자', 지난 15일 첫선을 보인 'SNL 코리아 시즌 4'도 누구나 공짜로 시청할 수 있었다.

OTT 업계가 추산하는 누누티비에 따른 피해액은 약 5조원에 이른다. OTT 업계의 한 관계자는 "(누누티비 등)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플랫폼이 존재하는데 누가 돈을 지불하고 OTT를 이용하겠냐"고 반문하면서 "예를 들어 A라는 콘텐츠의 예상 수익이 200만원이었다면, 누누티비로 인해 절반인 100만원의 수익만 올렸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는 월간활성사용자수(MAU) 감소 요인이기도 하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티빙, 웨이브 등 국내 OTT 이용자 수는 1410만명으로 누누티비가 판을 치던 3월 대비 102만명이 늘었다. 누누티비로 인해 100만명가량의 이용자를 뺏겼다가 돌려받은 셈이다.

이에 업계선 정부나 관계 기관이 앞장서 누누티비와 유사한 사이트 등이 재생산되지 않도록 힘을 모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부와 관계 기관도 손 놓고 있는 것만은 아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따르면 누누티비 서비스가 종료된 지난 4월 14일부터 지난달 19일까지 누누비티 유사 사이트 등 저작권 침해정보에 대해 1310건을 접속 차단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불법 사이트 탐지‧대응을 위해 인터넷 서비스 사업자(ISP), 한국전파진흥협회(RAPA) 등과 긴밀히 협력한다는 계획이다.

최근에는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박완주 무소속 의원이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들의 규제와 불법수익환수 등 처벌 방안을 법률에 명시하는 '온라인상 불법정보 및 행위 근절을 위한 특별법', '저작권법 일부개정법률안' 등 '누누티비 방지 3법'을 대표발의하는 등 국회 차원에서도 칼을 빼든 상태다.

하지만 이 같은 전방위 압박에도 사실상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를 완벽하게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들은 해외에 서버를 두는 방식으로 접속 차단 조치에도 URL 변경 등을 통해 운영을 재개하고 있다. 짝퉁 누누티비가 무한 증식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이런 상황 속에서 정부와 국회, 관계 기관 등의 노력과는 별개로 OTT 업계와 K-콘텐츠를 지키기 위해 현재 가장 절실한 것은 이용자들의 인식 제고다.

지난 3월 기준 누누티비의 동영상 조회 수는 18억회에 달했다. 국내 OTT 스트리밍 조회 수를 훌쩍 넘는 수치다. 그만큼 많은 이용자들이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를 방문했다는 의미다. 

하지만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 방문은 양질의 콘텐츠 제작을 저해해 그 영향이 결국 소비자들에게 되돌아올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된다.

콘텐츠 하나를 만들기 위해서는 수많은 자원과 투자가 필요하다. 창작자의 피와 땀이 녹아있는 영역이기도 하다. 이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치르지 않으면, 투자자가 투자를 줄이고 그 여파로 좋은 창작자가 빛을 보지 못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로 OTT 이용자 수가 줄어 콘텐츠 제작 이후 수익이 감소하면 투자자 등은 투자비용을 줄일 수밖에 없다"며 "이로 인해 이용자들의 눈높이에 맞춘 콘텐츠 제작이 점점 어려워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용자가 없다면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들도 운영 동력을 잃는다. 앞으로 제2의 '오징어게임', '더 글로리'가 지속적으로 양산되기 위해선 콘텐츠를 시청할 때 정상적인 대가를 지불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돼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