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전기차 화재, 공포감 줄일 대안 나와야
상태바
잇단 전기차 화재, 공포감 줄일 대안 나와야
  •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 autoculture@naver.com
  • 기사출고 2022년 12월 12일 15시 23분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
김필수 대림대학교 교수

최근 다시 한번 전기차 화재가 발생했다. 이는 등록대수 2550만대의 내연기관차 화재가 연간 거의 5000건에 이를 정도라는 점에 비하면 적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문제는 전기차 화재는 발생 이후 갑작스런 높은 온도로 탑승객 등의 탈출을 위한 골든타임이 줄어들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화재 이후 소화에 많은 인원과 소화용 장비 및 물 등이 대량 요구된다는 점이다.

특히 전기차 충돌 직후에 일어나는 갑작스런 화재와 확산 및 온도 상승은 다른 차종 화재보다 더 큰 문제점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지구 온난화 가스 증가와 탄소 중립에서 수송수단의 무공해화를 담당하는 전기차 보급은 이유 불문하고 필연적이다. 이 때문에 단점을 얼마나 빨리 현명하게 줄이느냐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전기차 보급이 매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면서 전기차의 문제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가 없다는 게 문제다.

내연기관차는 지난 130여년을 사용하면서 비상 시 대처방법은 물론 각종 문제에 대한 대안이 확실하게 준비된 반면, 전기차는 보급된 지 약 10년밖에 안된 초보수준이다. 시간이 짧은 만큼 완벽한 대응을 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 이 가운데 가장 큰 문제랄 수 있는 전기차 화재는 일반인들에게 공포감을 자아내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어서 부정적인 시각이 커지지 않을까 우려된다.

이번 전기차 화재는 고속으로 움직이던 전기차가 충돌하면서 바로 전기차 하단 배터리쪽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주변 일반인들이 나서서 소화기 다수 활용과 함께 차량 개방 등 다양한 시도를 했으나 갑작스럽게 확대되는 화재로 운전자가 사망하는 사고로 이어졌다. 증언에 따르면 매립식 히든 도어 손잡이가 나오지 않았고, 하단에서 발생한 화재가 소화기 10여대를 동원하여 진압에 활용됐음에도 아무 의미가 없을 정도로 화재 불꽃이 컸다는 것이다. 결국 운전자는 사망하고 화재를 진압하는데 약 2시간이 소요될 정도로 시간 소모도 많았다.

사고 원인은 조사를 통해 발표될 것으로 보이지만 확실한 것은 전기차 화재로 인한 공포감을 증가시켰다는 점이다. 앞으로 이에 대한 확실한 대안이 나오지 않는다면 고민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보다 앞서 부산 고속도로 톨 게이트에서 기둥에 충돌한 전기차가 수초 만에 약 1000도의 배터리 열폭주가 발생하면서 전소한 사건도 아직 기억 속에 남아있는 상황이다. 당시 탑승자 두 명은 고속충돌로 인한 다발성골절로 이미 사망해 화재로 인한 사망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나 역시 공포감을 느끼게 했다고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여러 건의 전기차 화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서 더욱 우려가 된다.

이미 전기차 화재는 각국에서 고민이 많은 상황이다. 미국의 한 자료에서는 전기차 화재가 전소될 정도로 큰 화재의 경우 소화시키는데 약 7시간 동안 8명의 소방대원이 동원됐으며, 사용되는 물은 10만리터에 이른다는 언급도 나온다. 참고로 내연기관차는 소화시간이 약 50분, 사용되는 물은 약 1000리터 정도면 될 정도이니 전기차 화재에 사용되는 물이 얼마나 많이 소모되는지 알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정도의 물은 미국 가정에서 약 2년간 사용되는 물의 양이니 심각한 문제라 할 수 있다. 한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는 전기차 화재 발생 시 소화시키는 방법으로 이동용 수조를 활용하거나 질식포를 덮어서 산소차단을 하는 방법 등이 활용되고 있으나 역시 완벽한 방법은 아니다. 특히 이 방법들도 차량 안에 탑승객이 있을 경우 사용을 하지 못하는 만큼 다른 대안이 요구된다.

당장 전기차 화재가 종종 발생하면서 점차 공포감이 늘어나고 전기차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커지면서 전기차 보급에 차질이 발생하지 않을까 우려된다. 전기차에 탑재되는 배터리는 리튬이온으로 구성된 배터리로 기술적으로 가장 앞서있는 재질이고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어두운 부분이 바로 화재 등의 문제다. 물론 향후 10년 후에는 전고체 배터리 등이 개발되면서 화재 등의 단점이 크게 감소하겠지만 현재로서는 방법이 많지 않다.

우선 몇 가지 부분을 고민해야 한다. 현재로서는 화재 발생 시 바로 소화기능은 쉽지 않겠으나 최소한 골든타임을 늘리는 화재를 늦추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현재 현대차그룹도 배터리 셀 사이에 온도에 반응하는 특수 소화 기능을 가진 소화캡슐을 장착해 미리부터 배터리 열폭주를 지연시키는 연구를 하고 있어서 조만간 좋은 결과를 예상하고 있다. 이 기술은 국제 특허를 가진 원천기술로 무장하여 각 분야에 활용 가능한 것은 물론 특히 전기차 등에 좋은 효과가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전기차에 대한 기본 교육도 필요하다. 현재 전기차에 관한 기초교육조차 없는 상황에서 그냥 이용하는 만큼 기본적인 전기차 활용과 비상 시 대처방법 등을 마련하여 탑승객의 안전에 도움을 주면 훨씬 긍정적인 결과가 예상된다. 침수도로 운행방법, 과속방지턱 넘어가기, 우중이나 젖은 손으로 충전하지 않기 등은 물론이고 전기차 기본 사용과 탈출 방법 등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어느 하나 가르쳐주거나 매뉴얼 조차 없는 상황인 만큼 미리 준비하여야 한다.

세 번째로 아직은 전기차에 대한 비상조치나 소화 등 대처방법에 대한 교육이다. 이는 소방청 등이 노력해야 하고 있으나, 아직은 미흡한 부분도 많고 다른 국가도 지속적으로 준비하고 있는 만큼 노력을 더욱 기울여야 한다. 현실적으로 전기차 소화에는 이동용 수조와 질식포가 가장 좋은 방법으로 제시되고 있으나, 더욱 진전된 방법이 개발되어야 한다. 물론 당연히 전국적으로 각 소방청마다 상기한 장비를 구비하여 미리부터 전기차 화재 발생 시 능동적인 조치도 당연히 필요하다.

전기차 화재가 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경우 부정적인 시각이 커지는 만큼 제대로 된 홍보와 캠페인으로 올바른 인식제고가 필요하고 대안이 마련돼 최대한 대비할 수 있는 조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