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용준의 산업만사] 둔촌주공 파행, 진흙탕 속 희망의 연꽃을 피워라
상태바
[장용준의 산업만사] 둔촌주공 파행, 진흙탕 속 희망의 연꽃을 피워라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컨슈머타임스 장용준 기자] 단군 이래 최대 재건축으로 꼽히며 기대를 모았던 서울시 강동구 '둔촌 주공 아파트' 공사가 공정률을 절반가량 넘긴 상황에서 파행에 이르렀다. 애초에 이례적으로 4곳의 대형건설사들(현대건설·HDC현대산업개발·대우건설·롯데건설)이 컨소시엄을 이뤄야 할 만큼 최대 규모 사업(기존 5930가구가 1만2032가구로 탈바꿈하는)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여타 재개발‧재개발 예정 사업지에 끼치는 영향력이 컸던 곳이라 조합과 시공단, 서울시의 일거수일투족이 초미의 관심이었다.

문제는 거기서부터였던 듯하다. 둔촌주공 재건축 사업이 조합과 시공사업단 간 갈등으로 파국을 향해 치닫는 모양새가 된 것은 결국 너무나 거대한 '사업성' 때문이다. 이곳에서 오랜 기간 공사비를 비롯한 사업비를 둘러싸고 빚어진 조합과 시공단의 갈등은 그야말로 치킨게임의 양상을 띠고 있다.

사태가 이렇게 치닫게 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면, 둔촌 주공 재건축사업이 최초 공사비를 2조6708억원으로 계약했으나 이후 가구수 증가와 원자재 가격이 상승 등의 이유로 조합과 시공단이 공사비를 3조2294억원으로 5586억원 증액하기로 재계약했다. 하지만 공사비 증액이 이뤄진 후 조합원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이 계약을 체결한 조합장이 해임되면서 새롭게 집행부가 꾸려지면서 사태는 급반전했고, 공사비 증액 계약 무효로 이어졌다. 시공단은 이에 반발해 공사를 중단했고 이에 반대하는 조합원들은 정상화 위원회를 조직하는 등 갈등과 불신의 옥상옥(屋上屋)이 반복되고 있는 상황이다.

조합과 시공사 양측이 극적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고 공사가 최종 중단될 경우 최소 3년 이상 소송이 예상된다. 이렇게 되니 둔촌 주공 사태는 더 이상 조합과 건설사만의 문제가 아니게 됐다. 서울시 입장에서 1만가구 이상의 주택공급계획에 차질이 빚어지게 됐고, 공사에 투입될 현장 인력의 일감이 사라지는가 하면 도시정비사업의 위축을 가져올 수 있는 후폭풍을 걱정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같은 상황에 이르기까지 서울시가 손을 놓고 있었던 것만은 아니다. 연초 재건축 재개발 전문 코디네이터 3명을 투입해 중재에 나서 입주 지연 등 조합원의 피해를 최소화기 위해 조합과 시공사 합의하에 20년 변경계약 내용에 대해 재검증 및 변경을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중재안을 내놓기는 했다.

하지만 서울시가 조합측에게만 유리한 중재안을 내놓았다는 이유로 시공단은 중재안 수용 불가 방침을 통보하면서 사태는 파국으로 치달았다.

이 과정에서 서울시는 둔춘주공 조합과 시공단 사이에서 합의점에 도달할 수 있는 중재안을 다시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조합의 집행부와 거대 건설사가 추구하는 사업성과 이익이 5000여 둔촌주공 조합원들에게 제대로 돌아가는 것인지 철저하게 따져봐야 할 시간이 왔다. 이미 진흙탕 싸움으로 돌파구를 찾기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어설픈 중재안으로 사태를 봉합하는 것은 사태의 근본적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지금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하는 방향성은 고래 싸움에 새우등 터진다는 씁쓸한 말이 그 어느 때보다 와 닿을 상처 입은 조합원들에게 제대로 된 내집 마련의 꿈을 현실화해 돌려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합 집행부는 조합원들에게 공사 진행 상황과 사업비 집행 등과 관련된 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설명해야 할 본연의 의무로 돌아가야 한다. 이를 통해 사업이 정상화되면 시공단 역시 최선의 역량으로 공사를 진행하는 프로의식을 발휘해야 한다. 그리고 서울시는 서울시민인 조합원들을 위해 이 모든 과정을 감독하고 제대로 된 중재안을 제시해야 하는 숙제가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만 한다.

이같은 노력으로 이미 진흙탕이 된 둔촌주공에 튼튼한 뿌리가 자리 잡아 연꽃이 피기를 기대해 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