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AI(인공지능)정책, 연구·인재육성·산업정책 부문 5점 만점
상태바
한국 AI(인공지능)정책, 연구·인재육성·산업정책 부문 5점 만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정보통신정책연구원 

[컨슈머타임스 하주원 기자] 우리나라의 인공지능(AI) 정책이 세계 주요국과 비교해 연구와 인재 육성, 산업정책 분야에서 5점 만점을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은 2일 최근 캐나다 고등 연구원은 이런 내용을 포함해 세계 주요 국가의 AI 전략을 비교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지난 1982년 설립된 캐나다 고등 연구원(CIFAR. Canadian Institute For Advanced Research)은 AI 강국인 캐나다의 주축 연구기관이며 세계 각국의 AI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캐다가 고등연구원이 발표한 보고서는 각국의 AI 전략을 8대 정책 분야에 걸쳐 평가한 것이다. 

평가는 분야별 5점 만점으로 △세부적 조치와 예산까지 포함한 정책은 4~5점 △포괄적 정책 목표가 있으나 특정 조치가 없거나 계획만 있을 경우는 2~3점 △중요성은 인지하지만 구체적 목표나 대책을 명시하지 않은 경우 1점 △해당 사항이 없으면 0점을 부여한다. 

한국은 연구와 인재 육성, 산업정책까지 3개 분야에서 5점 만점에 5점을 받았다.

연구 분야는 AI 연구센터나 허브, 프로그램 신설 여부를 주로 평가했다. 인재 육성의 경우 국내외 AI 인재의 유치와 양성, 석·박사 프로그램 설립 등에 중점을 둔 항목이며 산업정책은 AI 창업 및 중소기업 지원, AI 생태계 조성 등을 통한 AI 기술의 민간 도입 활성화 등이 주 요소로 평가된다.

주요 8개국 중 3개 이상 분야에서 5점을 받은 나라는 4개(산업정책·윤리·데이터·정부AI) 분야에서 5점을 받은 유럽연합이 있으며 3개 분야에서 5점을 받은 나라는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연구·인재육성·산업정책) 뿐이었다.

미국은 연구와 데이터 등 2개 분야에서 5점을, 중국과 일본은 5점을 받은 분야가 없었다.

다만 이번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AI 전략에 대해 지난 2018년 발표 내용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국가별 최신 정책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은 "정부 AI와 포용 분야에서 구체성이 가장 낮았다"라며 "해외 주요국의 AI 전략 동향을 면밀히 주시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투데이포토